답변 3개
※ "가상머신(Ubuntu)에 그누보드를 설치하고, 윈도우의 포트포워딩 없이
PC(192.168.0.2)에 접근하려 하신 것 같습니다!"
> 그러면, 당연히 보여주신 이미지와 같은 error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 접근하려는 project가 설치된 PC를 벗어나 LAN에서 WSL의 host에 접근하려면,
접근하려는 project가 설치된 PC의 Windows 포트 포워딩 설정이 필수입니다.
> WSL을 접속하시려는 PC(192.168.0.2)에 설치하였어도 ~
- 가상머신도 하나의 Host입니다.
- 이 머신에는 윈도우 내부에서만 유효한 WSL IP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 머신(가상머신, ubuntu)의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로 WSL IP를 확인하세요.
</p>
<p>ip a</p>
<p>
- 그러면
2: eth0: . . . . 이 부분에서 WSL 내부 IP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inet , 이 문구 뒤 부분에 머신_IP(x.x.x.x/x)가 서브넷 마스크 표기와 함께 있을 것입니다.
> x.x.x.x 가 머신의 WSL IP입니다.
> WSL이 설치된 PC에 Web-Server(nginx)가 실행 중이라면, 이 PC의 브라우저에서
http://x.x.x.x 접속으로 /var/www/html를 load할 수 있습니다.
> 단, 이 IP는 WSL에서 동적으로 부여되므로 이를 유념하세요.
- 시스템 재부팅이나 WSL을 재시작하면 변경됩니다.
- 이 IP로 WSL을 구동 중인 PC에서만 WSL IP에 접근할 수 있는 것입니다.
> 님의 PC 안에 Ubuntu_Server가 생성되어 있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세요.
※ 특별히 WSL의 설정을 커스터마이징 없이
Ubuntu와 그누보드를 설치하셨다면,
- "웹 페이지 루트"는 /var/www/html일 것입니다.
※ 님의 Home_PC에 설치한 그누보드를 WAN(인터넷)에 배포 하시려면
- PC의 윈도우 포트 포워딩을 하시고
- 공유기(라우터)의 포트포워딩을 결합하셔야 합니다.
♠ 이와 같은 웹서비스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개발 환경에서만 사용 -
- WSL IP가 동적이고
- 보안의 위험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 윈도우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
- 윈도우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p>
<p>netsh interface portproxy add v4tov4 listenaddress=0.0.0.0 listenport=80 connectaddress=[WSL IP] connectport=80</p>
<p>
- nginx가 80번 port를 사용한다고 볼 때 - connectport=80 -
- [WSL IP]는 실제 WSL IP로 대체
ex, 123123.123.123 이라면, connectaddress=123.123.123.123
- 설정 확인
</p>
<p>netsh interface portproxy show all</p>
<p>
♣ 웹 서비스까지는 하지 않으실 것으로 보고 라우터 포워딩은 생략 ~~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 어떻튼 윈도우에 리눅스를 설치하시고 이를 서버로 사용 중이시라면
- 이 Ubuntu가 설치된 환경이 WSL(가상머신)이라는 것입니다.
> 이 경우, LAN의 다른 host에서의 접속은 윈도우 포트포워딩이 기본입니다.
> 님 PC의 기본 운영체제가 Linux였나요?
- 그렇다면, Linux의 네트워크 설정과 라우터의 포트 포워딩 설정만으로
그누보드에 외부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 기본 운영체제가 Linux이시라면 이런 질문을 하시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만 ~
> 윈도우 포트 포워딩은 하여 보셨나요?
> 여기에 WAN의 host 들에게도 접속을 부여하는 것이 웹 서비스입니다.
- 그냥 속 편하게,
> 라우터 포트 포워딩을 설정하시여
웹 서비스를 하는 설정을 하세요 ~
- 단, 이 WSL IP는 WSL에서 동적으로 부여되므로 이를 유념하세요.
> 시스템 재부팅이나 WSL을 재시작하면 변경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404는 여러 문제일수있습니다. 설치시 그런다고한다면 또한 아마존 서버를 이용하시는 중이라면 먼저 서버를 체크를 해보시기바랍니다.
mod_rewrite 모듈을 활성화 되어잇는지 확인해보셔야하고,
또한 아마존서버셋팅시 웹서버를 .htaccess 사용을 허용을 해주셔야하며,
그리고 그누보드 최신버전을 다운받으셔서
다음 아래와같이 서버루트에 업로드하셔야한다면
파일및 디렉토리 접근권한을 셋팅을 해주셔야합니다.
sudo chown -R www-data:www-data /var/www/html
sudo chmod -R 755 /var/www/html
sudo chmod -R 707 /var/www/html/data
//그리고 설치 해보시 기바랍니다.
한마디로 그누보드를 설치하기 전 에 서버 지식이 충분히 있어야 만히 아마존 서버 클라우드 셋팅을 하실수있습니다.
만약 없다면 아마존 클라우드 대시보드대로 따라가가시기 바랍니다.
하여
아마존 서버셋팅을 힘드시면 제작의뢰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영상에 보면 동일한 현상이 있습니다.

방화벽 설정은 하셨나요?
https://youtu.be/9GZGdZ1-1UI?t=670
그리고 지금 질문자님이 작업하시기엔 너무나 변수가 많습니다.
영상 그대로 하려고 해도 서버 사양이나 회선 등등 동일하지 않아 많이 막힐거에요..
그냥 웹호스팅 쓰시면되는데 왜 서버셋팅을 하시는건가요??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그래서 집에있는 컴터로 구성해서 만들었어요
영상에서는 동일한 증상이 있는데 그다음에는 됐어요 그런데 그 작업을 해도 안되서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방화벽은 아예 내려놓고 포트도 열어놓긴 했습니다 방화벽을 내려서 아무소용이 없긴한데
그래도 해놓긴 했습니다 어느 포트로 접속해도 안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