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6개
언급하신 에디트플러스 또는 sublime text 같은 류를 텍스트에디터 라고 하며
이클립스, 넷빈즈 류를 IDE 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IDE는 개발자의 편의를 위한 자동완성 기능 등을 제공하고 프로젝트별로 관리하기에
무거운 부분이 있고 반대로 텍스트 에디터는 가볍고 빠른 수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죠.
결론은 사용하는 사람의 환경에 맞는게 최고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다수의 프로젝트 관리 및 개발의 편의를 위해 넷빈즈를 사용하고 있으며 큰 문제 없이 사용중입니다.
자기만 편하면 된거죠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vi 사용하면&nbsp; 리눅스 와 자연스럽게 친숙해지는&nbsp; 서버 공부도&nbsp; 약간 되고 그런 시너지 <br />
효과가 있어요 유닉스 솔라리스 빼고는&nbsp; 어느 정도 서버 관리도 가능하다능..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구식, 좋은 기준이 뭔지 모르겠지만 비싸고 있어 보이는 툴을 쓴다고 해서 프로그램이 더 잘되는 건 아니죠.
제 주위 분들은 대부분 이클립스나 에디트플러스사용하시네요.
프로그램 설정에서 본인의 취향에 맞게 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편집 프로그램 대부분이 거의 다 비슷하고 본인의 취향에 따라 세부 설정을 잘 세팅하셔야합니다.
그리고 안 좋게 들리거나 그런 건 없습니다. 툴 선택은 사용자 취향이니까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