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3개
시스템 레벨(nginx : *.conf, apache : httpd.conf 등등) 에서, 설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자 관점에서 아래와 같이, 각각의 시작폴더에, index.html을 만들고,
meta 태그를 사용한 refresh 를 이용하시면, 좀더 유연하게 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aaa.com/index.html 에 아래의 meta 적용.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0; url=http://aaa.com/">http://aaa.com/dx1' />
bbb.com/index.html 에 아래의 meta 적용.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0; url=http://bbb.com/">http://bbb.com/dx2' />
ccc.com/index.html 에 아래의 meta 적용.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0; url=http://ccc.com/">http://ccc.com/dx3' />
제 경우, 이렇게 사용해 오고 있는데요, version up 을 위한 directory 작업도 편리하더군요.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도메인럽 드림
http://cloudherb.com" target="_self">Powered by CloudHerb.COM 클라우드허브닷컴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도메인을 따서 카페24에서 포워딩을 http://www.OOO.com/aaa">www.OOO.com/aaa
이런식으로 하니까 되는데.. 이렇게 해도 되는지 궁금하네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httpd.conf 에서 3개의 폴더별로 정의해 주면 됩니다.
<VirtualHost>
DocumentRoot "/home/www/aaa"
ServerName http://www.aaa.com">www.aaa.com
ServerAlias aaa.com
ErrorLog logs/aaa_com_log
</VirtualHost>
<VirtualHost>
DocumentRoot "/home/www/bbb"
ServerName http://www.bbb.com">www.bbb.com
ServerAlias bbb.com
ErrorLog logs/bbb_com_log
</VirtualHost>
<VirtualHost>
DocumentRoot "/home/www/ccc"
ServerName http://www.ccc.com">www.ccc.com
ServerAlias ccc.com
ErrorLog logs/ccc_com_log
</VirtualHost>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