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20년차 분들이 많으시네요...

· 2년 전 · 1272 · 3

저도 설렁설렁 10년차는 넘은거 같은데,,

중간에 주식했다 깡통 찬 적도 있고,

정신없이 여자 만나러 다닌적도 있고해서 

총 개발경력은 3년이나 될랑가 모르겠네요.

 

고수님들의 긴 여행 중 주로 어느 프로젝트할때 실력이 급상승 하였나요?

저도 뭔가 탁 트일꺼 같은데 아직도 php란 무엇인지 감이 잡히질 않네요.

뭘 해야 200충을 탈출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3개

2년 전
저는..냑..20년차 입니다만..
2년 전
예전에 플래시 액션 스크립트를 만질 때

예를 들어 n = 3 이라고 주면
my = [3, 33, 333] 이라는 배열이 만들어지고
n = 7 이라고 주면 아래처럼 배열이 만들어지는
my = [7, 77, 777, 7777, 77777, 777777, 7777777];

위와 같은 코드를 만들 일이 있었습니다. 사실 이건 무진장 쉬운 문제지요.
아마 대부분의 개발자는 아래와 같이 코드를 구성할 거에요.

<script>
n = 8;
my = [n];
for (i = 1; i < n; i++) my.push(Number(my[i - 1] + String(n)));
document.write(JSON.stringify(my));
</script>

위의 것은 숫자 8 에 문자열 "8" 을 더하면 "88" 이 되는데 이건 문자열이니 Number() 메서드로 치환하여 루프문으로 돌리면서 배열에 담는 아주 생각해내기 쉬운 코드입니다.

저도 처음에 이렇게 코드를 구성했는데 길을 가다가 갑자기 아래의 코드가 생각나더군요.

<script>
n = 8;
my = [];
for (i = 1; i <= n; i++) my.push((Math.pow(10, i) - 1) / 9 * n);
document.write(JSON.stringify(my));
</script>

위 코드는 예를 들어 888 의 경우 10의 3승 즉 1000 에서 1을 빼면 999 가 되고 이를 9 로 나누면 111 이 되고 이 111 에 8 을 곱해준 값입니다.
결국 i 는 3 이고 n = 8 이 되면서 이걸 루프문으로 돌려서 진공배열에 담는 코드지요.

이걸 떠올리면서 "와 내 잔대갈빡"이 많이 늘었구나라고 확실히 느꼈던 기억이 납니다.
@비타주리
오.. 상세한 예시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042
1717041
1717036
1717025
1717024
1717016
1717014
1717006
1717004
1716995
1716986
1716982
1716978
1716974
1716968
1716966
1716952
1716945
1716934
1716926
1716920
1716915
1716914
1716912
1716906
1716903
1716902
1716899
1716894
1716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