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치 환경 * 6개
(codeanywhere, 리눅스 클린설치, 윈도우 안의 우분투, 도커안의 리눅스, 나스안의 리눅스, 터미널 안의 가상환경)
2. 두개의 리눅스 * 2개
(우분투, 센토스)
3. 3개의 프레임 워크 *3
(FastAPI, DJango, Flask)
총 6*2*3 = 36가지의 환경이 있는데, 이를 처음 하는 사람은 혼동스러워 함
댓글 5개
대중적인것 쓰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쓰는 우분투 20.04LTS 쓰는게 보통이구요
사실 리눅스는 말씀하신것보다 종류가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B%88%85%EC%8A%A4_%EB%B0%B0%ED%8F%AC%ED%8C%90
나머지는 특정 목적으로 호환성이나 임베디드용이나 커스텀 용으로
커널컴파일등이 필요한 경우에 많이 사용합니다.
도커에서는 딱 필요한 기능만 사용을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크기가 아주작은 Alpine리눅스도 많이 사용합니다.
----
프레임워크 사용하려면 일반적으로 우분투 같은 널리 알려진 리눅스를 쓰시는게 좋죠
설치지원도 잘되고 설치문서도 많이 있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