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리눅스 혼동스러운 점

· 1년 전 · 1252 · 5
Django-vs-Flask.png

1. 설치 환경 * 6개
(codeanywhere, 리눅스 클린설치, 윈도우 안의 우분투, 도커안의 리눅스, 나스안의 리눅스, 터미널 안의 가상환경)

 

2. 두개의 리눅스 * 2개

(우분투, 센토스)

 

3. 3개의 프레임 워크 *3

(FastAPI, DJango, Flask)

총 6*2*3 = 36가지의 환경이 있는데, 이를 처음 하는 사람은 혼동스러워 함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5개

1년 전

대중적인것 쓰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쓰는 우분투 20.04LTS 쓰는게 보통이구요

사실 리눅스는 말씀하신것보다 종류가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B%88%85%EC%8A%A4_%EB%B0%B0%ED%8F%AC%ED%8C%90

나머지는 특정 목적으로 호환성이나 임베디드용이나 커스텀 용으로

커널컴파일등이 필요한 경우에 많이 사용합니다.

 

도커에서는 딱 필요한 기능만 사용을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크기가 아주작은 Alpine리눅스도 많이 사용합니다.

----

프레임워크 사용하려면 일반적으로 우분투 같은 널리 알려진 리눅스를 쓰시는게 좋죠

설치지원도 잘되고 설치문서도 많이 있습니다.

@똥싼너구리 

그럼 위 여러가지 환경 중에, 집에서 로컬호스트로 그누보드6 처음부터 배울려면 어떤 환경이 가장 효율적일까요?

1년 전

@울라프 

공부 목적이면 따로 OS 설치보다

도커가 가장 가볍게 해 볼수 있습니다.

(대신 도커를 조금 할줄 아셔야 할겁니다.)

그저 서버를 좀 안다 싶으면 Centos 잘 모르는 분이면 Ubuntu 라고 

알고 있습니다.

 

굳이 서버를 모르는데 생소한 도커, 나스얀 을 사용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들고..윈도우 안 리눅스 이런 것들은 사용하기도 힘들거고 꼭 해야 할 필요성이 없다면 안쓰는게 맞다 생각합니다.

내가 어떤 목적으로 사용+개발 하느냐에 따라 ...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252
1717247
1717243
1717237
1717225
1717214
1717208
1717203
1717189
1717183
1717177
1717172
1717163
1717162
1717156
1717154
1717153
1717141
1717140
1717138
1717113
1717111
1717105
1717099
1717085
1717076
1717072
1717065
1717062
1717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