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아쉬운일인지 다행인 일인지는 모르겠지만..
여긴 제가 개인적으로 아시는분은 없는 몇 안되는 커뮤니티 공간 입니다. ㅎㅎ
이젠 상견례도 잘 끝이 났고,
내년 10월에 결혼을 하기로 했습니다. (상견례가 좀 일렀죠..사정이 있었기에..ㅎㅎ)
저는 유학원쪽에도 있었었고, 냑에 가입할 시점에선 웹코딩을 잠깐 배우고, 실무도 병행하던
시절이였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저처럼 실력없는 웹코더는 오래 살아남을수 없단걸 느끼고..
평생 먹고 살꺼 찾다보니 DB쪽으로 배워서 이렇게 이젠 일을 시작했구요,
이쪽으로 쭉~ 먹고살생각을 하고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
암튼, 각설하구..
지금은 제가 31살 이구요, 여자친구는 30살 입니다.
현재 전 세후 약 200정도, 여자친구는 안경사일을 하면서 230~250정도 버는것 같구요..
추후 저는 연봉이 오를것으로 예상 됩니다만, 여자친구는 저게 Max 입니다.
창업을 하지 않는 한 더 오를수가 없다고 생각이 되어지구요..
서울에서 살아야 할텐데.. 집이야 그렇다 치고,
생활비 측면에서 과연 가능할까.. 전 궁금 합니다. 아이가 생기고 나면 적어도 어린이집 갈때까진
일을 안했으면 하는데.. 외벌이로 그게 가능할까요?
저축도 해야하고.. 그럴텐데 말이죠.
이런저런 고민에 잠도 잘 못자는것 같아서..
이렇게 한번 써봅니다.
기혼자, 경험자 분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충언도 받겠습니다.
댓글 23개
서울 살다가 광명시로 이사왔고 현재 초딩1 학년 아들넘 하나 있는데
생활비야 본인들 생활수준에 따라 다르죠..
다만 집문제만 해결되었을 경우 월 200이상이면 충분히 생활 가능 합니다.
솔직히 아낀다면 적금도 가능한 금액이죠 ~ 차만 안끌어도 1년에 몇백은 절약 가능하니까요~
후에 애도 낳으시면 그땐 또 연봉도 오르실꺼고 요즘은 정부에서 아이 낳으면 소득상관없이
십 몇만원 보조금도 매달 나오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가면 또 보조금 20~30만원까지 매달 나오니..
충분히 생활가능합니다....^^
제가 가는 커뮤니티 보면 월 200도 안되지만 애 2까지 낳고 사시는 분들도 많아요..^^
생활비야 본인들 생활수준에 따라 다르죠..
다만 집문제만 해결되었을 경우 월 200이상이면 충분히 생활 가능 합니다.
솔직히 아낀다면 적금도 가능한 금액이죠 ~ 차만 안끌어도 1년에 몇백은 절약 가능하니까요~
후에 애도 낳으시면 그땐 또 연봉도 오르실꺼고 요즘은 정부에서 아이 낳으면 소득상관없이
십 몇만원 보조금도 매달 나오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가면 또 보조금 20~30만원까지 매달 나오니..
충분히 생활가능합니다....^^
제가 가는 커뮤니티 보면 월 200도 안되지만 애 2까지 낳고 사시는 분들도 많아요..^^
아이들이 사라진 놀이터.
아이를 놀이터에 데리고 나가면 아무도 없다.
첫째 때 자리가 좁았던 놀이터가 지금은 내 아이 혼자만 노는 공간이다.
아이도 금방 실증을 낸다.
다른 아이들이 없다보니 한 사람은 아이 곁에 있어야 한다.
아직 어린 아이라 혼자 놀기의 재미를 깨우쳐 줄 수 없기에.
큰 아이가 어느날 학원을 보내달라고 한다.
친구들이 모두 학원을 다닌다고.
학원에서 시험 문제를 알려준단다.
싫다.
기업은 패미니즘을 이용한다.
기업은 외국인 노동자를 이용한다.
끊임없이 값싼 노동력을 만들어낸다.
99%는 스스로가 노예가 된다.
가족은 노동력을 생산하는 도구 이상이 아니다.
아이들의 떠듬, 아내의 웃음, 아빠의 책임감이 사라진다.
아는가?
신라이래로 지배 계급이 바뀐 적이 없는 것을?
귀족들의 주도권만 바뀌었다.
조선 초기 양반은 10% 정도였다.
나머지는 성이 없는 소작농 양민이거나 노비였다.
그들은 나라를 팔아 먹었어도 지금도 여전히 지배계급이다.
스스로의 힘으로 민주주의를 이루지 못해 민주주의 귀중함을 시궁창에 쳐 넣는다.
* 최저 임금에 대한 전경련의 반응을 보면 웃음이 나옵니다. 그들의 기업에서는 최저 임금의 몇 배를 주고 있으면서 반대를 하지요.
값싼 노동자가 있어야 상대적으로 많아 보이니까요. 저는 둘이 벌어야 버틸 수 있는 현상을 소위 말하는 지배 계급의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략이라기보다는 본능이겠죠.
아이를 놀이터에 데리고 나가면 아무도 없다.
첫째 때 자리가 좁았던 놀이터가 지금은 내 아이 혼자만 노는 공간이다.
아이도 금방 실증을 낸다.
다른 아이들이 없다보니 한 사람은 아이 곁에 있어야 한다.
아직 어린 아이라 혼자 놀기의 재미를 깨우쳐 줄 수 없기에.
큰 아이가 어느날 학원을 보내달라고 한다.
친구들이 모두 학원을 다닌다고.
학원에서 시험 문제를 알려준단다.
싫다.
기업은 패미니즘을 이용한다.
기업은 외국인 노동자를 이용한다.
끊임없이 값싼 노동력을 만들어낸다.
99%는 스스로가 노예가 된다.
가족은 노동력을 생산하는 도구 이상이 아니다.
아이들의 떠듬, 아내의 웃음, 아빠의 책임감이 사라진다.
아는가?
신라이래로 지배 계급이 바뀐 적이 없는 것을?
귀족들의 주도권만 바뀌었다.
조선 초기 양반은 10% 정도였다.
나머지는 성이 없는 소작농 양민이거나 노비였다.
그들은 나라를 팔아 먹었어도 지금도 여전히 지배계급이다.
스스로의 힘으로 민주주의를 이루지 못해 민주주의 귀중함을 시궁창에 쳐 넣는다.
* 최저 임금에 대한 전경련의 반응을 보면 웃음이 나옵니다. 그들의 기업에서는 최저 임금의 몇 배를 주고 있으면서 반대를 하지요.
값싼 노동자가 있어야 상대적으로 많아 보이니까요. 저는 둘이 벌어야 버틸 수 있는 현상을 소위 말하는 지배 계급의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략이라기보다는 본능이겠죠.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35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