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js computed
computed속성
템플릿 내에 표현식을 넣으면 편리합니다. 하지만 간단한 연산일 때만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많은 연산을 템플릿 안에서 하면 코드가 비대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아래의 예를 봅시다.
<div id="example">
{{ message.split('').reverse().join('')}}
</div>
이 템플릿은 더 이상 간단하고 명료하지 않습니다. message를 역순으로 표시한다는 것을
알려면 찬찬히 살펴봐야 하겠죠.
템플릿에 메시지를 역순으로 표시할 일이 더 있으면 문제는 더 악화될 것입니다.
복잡한 로직이라면 반드시 computed속성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기본예제
HTML 부분
<div id="example">
<p> 원본 메시지 : "{{message}}</p>
<p>역순으로 표시한 메시지 : "{{reversedMessage}}"</p>
</div>
JS부분
var vm = new Vue({
el : "#example",
data : {
message: '안녕하세요'
},
computed : {
//계산된 getter
reversedMessage : function(){
//this 는 vm인스턴스를 가리킵니다.
return this.message.split('').reverse().join('')
}
}
})
이 예제에서는 computed속성인 reversedMessage를 선언했습니다.
우리가 작성한 함수는 vm.reversedMessage속성에 대한 getter함수로 사용됩니다.
console.log(vm.reversedMessage) // => '요세하녕안'
vm.message = "Goodbye"
console.log(vm.reversedMessage) //=> 'eybdooG'
콘솔에서 이 예제를 직접 해볼 수 있습니다.
vm.reversedMessage의 값은 항상 vm.message의 값에 의존합니다.
일반 속성처럼 computed 속성에도 템플릿에서 데이터 바인딩 할 수 있습니다.
Vue는 vm.reversedMessage가 vm.message에 의존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vm.message가 바뀔 때 vm.reversedMessage에 의존하는 바인딩을 모두 업데이트할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선언적으로 의존관계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computed속성의 getter함수는 사이드 이펙트가 없어 코드를 테스트하거나 이해하기 쉽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3643 | |
| 3631 | |
| 3627 | |
| 3621 | |
| 3619 |
HTML
스크롤다운시 모션효과
|
| 3617 | |
| 3610 |
HTML
간단한 FLEX 예제
|
| 3609 |
HTML
간단한 반응형 페이지 레이아웃
1
|
| 3608 |
HTML
간단한 Flex 활용 예제
1
|
| 3607 | |
| 3606 | |
| 3603 | |
| 3602 | |
| 3601 | |
| 3600 | |
| 3595 | |
| 3591 | |
| 3587 | |
| 3578 | |
| 3567 | |
| 3561 |
웹접근성
웹 표준 검사하기
|
| 3560 |
반응형
반응형을 위한 미디어쿼리
2
|
| 3559 | |
| 3557 | |
| 3555 | |
| 3554 |
CSS
body 외부 정렬
|
| 3552 | |
| 3551 |
CSS
flex 레이아웃
1
|
| 3550 | |
| 3537 |
기타
howler.js
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