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js computed
computed속성
템플릿 내에 표현식을 넣으면 편리합니다. 하지만 간단한 연산일 때만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많은 연산을 템플릿 안에서 하면 코드가 비대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아래의 예를 봅시다.
<div id="example">
{{ message.split('').reverse().join('')}}
</div>
이 템플릿은 더 이상 간단하고 명료하지 않습니다. message를 역순으로 표시한다는 것을
알려면 찬찬히 살펴봐야 하겠죠.
템플릿에 메시지를 역순으로 표시할 일이 더 있으면 문제는 더 악화될 것입니다.
복잡한 로직이라면 반드시 computed속성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기본예제
HTML 부분
<div id="example">
<p> 원본 메시지 : "{{message}}</p>
<p>역순으로 표시한 메시지 : "{{reversedMessage}}"</p>
</div>
JS부분
var vm = new Vue({
el : "#example",
data : {
message: '안녕하세요'
},
computed : {
//계산된 getter
reversedMessage : function(){
//this 는 vm인스턴스를 가리킵니다.
return this.message.split('').reverse().join('')
}
}
})
이 예제에서는 computed속성인 reversedMessage를 선언했습니다.
우리가 작성한 함수는 vm.reversedMessage속성에 대한 getter함수로 사용됩니다.
console.log(vm.reversedMessage) // => '요세하녕안'
vm.message = "Goodbye"
console.log(vm.reversedMessage) //=> 'eybdooG'
콘솔에서 이 예제를 직접 해볼 수 있습니다.
vm.reversedMessage의 값은 항상 vm.message의 값에 의존합니다.
일반 속성처럼 computed 속성에도 템플릿에서 데이터 바인딩 할 수 있습니다.
Vue는 vm.reversedMessage가 vm.message에 의존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vm.message가 바뀔 때 vm.reversedMessage에 의존하는 바인딩을 모두 업데이트할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선언적으로 의존관계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computed속성의 getter함수는 사이드 이펙트가 없어 코드를 테스트하거나 이해하기 쉽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3530 | |
| 3529 | |
| 3497 | |
| 3472 | |
| 3471 |
CSS
CSS 그리드 관련 사이트
9
|
| 3451 | |
| 3442 | |
| 3441 | |
| 3437 |
CSS
마진병합 현상
6
|
| 3436 | |
| 3425 |
기타
제이쿼리 버전
1
|
| 3421 | |
| 3420 | |
| 3405 | |
| 3402 | |
| 3399 | |
| 3397 | |
| 3394 |
기타
“Barba.js
1
|
| 3393 | |
| 3392 | |
| 3391 | |
| 3390 | |
| 3389 | |
| 3388 | |
| 3387 | |
| 3386 | |
| 3385 | |
| 3384 | |
| 3383 | |
| 338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