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HTML5 의 의외성 [2탄] 표, 그리고 리스트

· 3년 전 · 2480 · 2

WEB 2.0 등장 이후 가장 크게 두각을 나타낸 언어가 두가지 있습니다.

바로 CSS 와 JS 입니다.

JS 중에서도 단연 Jquery 는 Action Scripts 의 쇄락을 빠른 속도로 이끌정도로 큰 인기를 가구했고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계속 발전해나가고 있습니다.

이 Jquery 에 관한 내용을 다음 내용으로 담아낸다면 좋겠네요.

 

지난 글에서는 시멘틱에 관해서 다루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글에서는 표와 리스트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아래는 보기 쉽게 표현한 "표, Table" 의 구조 입니다.

 

NO SUBJECT WRITER DATE
<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1 첫번째 글 제목입니다. 글쓴이 A 2021-12-06
2 두번째 글 제목입니다. 글쓴이 B 2021-12-06

 

서버사이드가 익숙하다면 SQL 이 떠오르실 것이고 일반적으로는 EXCEL 을 떠올릴수도 있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EXCEL 은 알게모르게 보편적으로 사용중인 가장 기초적인 SQL Tool 입니다.

그래서 엑셀의 매크로는 C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이 가능합니다.

역시나 워터폴 형식으로 IF, ELSE 또한 작성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문서 입니다.

 

그리고 표가 가지는 가장 큰 특징으로는

COLUMN 과 ROW 가 있습니다.

그리고 로우별 label 을 Array 형태로 미리 선언해주는 Col 값이 hidden 처리되어 숨어있지만

이는 중급이상 퍼블리셔분들만 이해가능하고.. 이미 사용중이시기에 패스하겠습니다.

 

본 글은 표와 리스트의 차이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표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조적으로 제목(Thead, th), 내용(Tbody, td), 그것들을 정리하는 요소(Tfoot, td) 가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Thead

3067568377_1638727766.7617.png

 

Tbody

3067568377_1638727774.5931.png

 

Tfoot

3067568377_1638727791.7028.png

 

작성중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2개

3년 전
감사합니다.
돈도없어개발하기도시러
3년 전
Thead Tfoot을 잘 활용하면 프린트시에도 각 페이지마다
web css에서 fixed 하듯이 상단, 하단을 고정시켜서 출력 시킬수 있습니다.
더 쉽게 말씀드리자면,
웹문서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웹에서 출력될 때 각 페이지마다 해더가 붙어야 되는 경우가 있어요
(기관의 인증 마크나, 도장이나, 사인이나 각 페이지마다 기재가 되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Thead와 Tfoot을 잘 활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thead tr td 안에 div를 넣어서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니, 알아두면 굉장히 좋습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3530
3529
3497
3472
3471
3451
3442
3441
3437
3436
3425
3421
3420
3405
3402
3399
3397
3394
3393
3392
3391
3390
3389
3388
3387
3386
3385
3384
3383
3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