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계정
*adduser 명령을 실행하면 변화가 나타나는 폴더들 (즉, 유저를 생성하려면)
1. /home 아래에 유저명의 폴더생성
2. /etc/passwd 정보 추가
3. /etc/group 정보 추가
4. /etc/skel
사용자 계정 생성
# adduser jslover (생성)
# passwd jslover (패스워드 설정 및 변경 )
사용자 계정 삭제
# userdel -r ljs
( adduser 옵션)
사용자 설명을 부가하여 생성
# adduser -c 01190722595 ljs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사용자 걔정 생성 (디폴트로 /home에 생성)
# adduser ljs -d /users/ljs
→ /users 폴더 아래 /ljs 사용자 폴더를 만들고 ljs 계정을 생성
UID
- 기본적으로 UID는 500부터 시작하여 자동증가하며 자동적으로 부여된다
UID를 특별한 값으로 지정하기
# adduser ljs -u505
사용자 정보 보기
# cat /etc/passwd
사용자 쉘(shell) 지정해주기
# adduser ljs -s /bin/tcsh
※ /etc/login.defs 파일의 역활 : UID,GID 시작값은 최소 500인데 이파일에서 수정할수 있다
※ /etc/skel : 새로운 계정을 추가할 때 먼저 /etc/skel 디렉토리 내에 있는 파일들이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복사되어서 사용자 홈 디렉토리가 만들어지는것이다.
: 이 폴더내에 추가된 계정 이용자에게 어떤 메세지를 주고자 할때 파일을 만들어 넣어두면 유용하다(message, readme)
useradd 명령의 기본 설정값 변경하기
1. useradd -D 옵션 기본 설정값 확인
[root@H200 home]# useradd -D
그룹=100
홈디렉토리=/home
비활성화=-1
만기=
쉘=/bin/bash
SKEL=/etc/skel
2. 사용자 기본 홈 디렉토리를 /home 에서 /users로 변경해보자
# adduser -D -b /users
3. 기본 쉘을 /bin/bash에서 /bin/tcsh로 변경하기
# adduser -D -s /bin/tcsh
※ 실계정은 발급하되 로그인 불가능하게 하기
- /etc/passwd 파일에서 /bin/bash 부분을 /bin/false 나 /bin/nologin 으로 바꿔준다
계정 패스워드 관리
# chage -M 15 -E 2005/05/30 ljs1
→ 유효만기일 15일 전부터 패스워드 변경요구(-M)
→ 2005년 5월 30일까지 계정 사용 만료(-E)
패스워드 유효기간 설정 확인
[root@H200 home]# chage -l ljs1
최소: 0
최대: 15
경고: 7
유효하지 않음: -1
마지막 변경: 5월 24, 2005
패스워드 만기: 6월 08, 2005
패스워드가 유효하지 않음: 불가
계정 만기: 5월 30, 2005
계정 사용자 정보 변경
# usermod -s /bin/tcsh ljs (옵션은 adduser 옵션 내용과 같음)
사용자 계정 바꾸기(su)
*일반 사용자 추가 : # adduser ljs
*일반 사용자로 바꾸는것 : #su - ljs
*다시 root 사용자로 바꾸는것 : $ su - (패스워드를 다시 물어본다)
※ su 다음에 - 를 넣어야만 로그온한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 이전상태 계정으로 되돌아올때는 exit 명령.
환경변수 $PATH
[root@H200 home] # su ljs
[ljs@H200 home] $ su
Password:
[root@H200 home] # echo $PATH
/usr/local/sbin:/usr/local/bin:/sbin:/bin:/usr/sbin:/usr/bin:/usr/X11R6/bin:/root/bin
[root@H200 home]# su - ljs
[ljs@H200 ljs] $ su -
Password:
[root@H200 root]# echo $PATH
/bin:/sbin:/usr/bin:/usr/sbin:/usr/local/bin:/usr/local/sbin:/usr/bin/X11:/usr/X11R6/bin:/root/bin
로그인 관리
1. 쉘 변경
→ 유저 로그인 못하게 하기
#usermod -s /sbin/nologin jongsuck
→ 다시 로그인하게 하기
#usermod -s /bin/basn jongsuck
2. /etc/pam.d/login 수정
→ /etc/pam.d/login 파일을 vi로 열어 파일 첫줄에 다음 한줄을 추가한다
[ auth required /lib/security/pam_listfile.so item=user sense=allow file=/etc/loginuser onerror=succeed ]
→ /etc/loginuser 파일 생성하고 로그인 가능한 계정 추가
→ 로그인거부는 /etc/nologinuser 파일 생성하고 계정 추가하고, sense=deny 로, file=/etc/nologinuser 로 변경
그룹 관리
그룹 생성
# groupadd ljs
특정 GID 부여해서 그룹생성
# groupadd -g 801 ljs
그룹 삭제
# groupdel ljs
그룹 속성 변경
#groupmod -n ljs linux
→ linux 사용자 그룹을 ljs 그룹으로 변경하는 내용
*그룹 바꾸기
[root@H200 home]# chgrp jongsuck /home/ljsabc (ljsabc 유저디렉토리 의 그룹을 jongsuck 그룹으로 바꾼다)
*그룹 권한 바꾸기
[root@H200 home]# chmod 770 /home/ljsabc/ -- ljsabc 그룹 권한 바꾸기
(끝에 /를 꼭 붙여야 한다. 안그러면 전부다 권한이 바뀐다)
※ #id : 자신의 UID , GID 를 볼수있다
LS옵션
# ls -al /etc/ | less : 한 페이지별로 출력하라
grep
# grep root /etc/passwd : /etc /passwd 폴더내의 root와 관련된것을 출력하라
# ls -al /etc/|grep passwd : /etc 밑에 passwd와 관련된것을 출력하라
환경변수 $HOME (홈디렉토리)
*홈디렉토리 환경변수 보기 및 변경
[root@H200 etc]# echo $HOME (보기)
/root
[root@H200 etc]# cd ~ (보기)
[root@H200 root]# HOME= /tmp (변경)
[root@H200 root]# echo $HOME
/tmp
[root@H200 root]# cd ~
[root@H200 tmp]#
파티션 용량 및 파일갯수
# df : 파티션 용량 정보
# df -i : 파티션 내의 파일갯수 정보 (앞으로 생성할수 있는 파일갯수 정보)
1. 파티션 내 파일갯수
※ 수많은 파일 한꺼번에 만들기
- 쉘 프로그램 사용
[root@H200 test2]# touch a.sh
[root@H200 test2]# vi a.sh
1 #!/bin/sh - 쉘프로그램 만들때 써주는 주석
2 i=0
3 while:
4 do
5 touch ${i}
6 i=$(( $i+1))
7 done
..... 용량이 다 찰때까지 파일을 생성하라
[root@H200 test2]# ls
a.sh
[root@H200 test2]# ls -al
합계 3
drwxr-xr-x 2 root root 1024 5월 24 20:18 .
drwxr-xr-x 7 root root 1024 5월 24 20:14 ..
-rw-r--r-- 1 root root 53 5월 24 20:18 a.sh
*a.sh를 실행파일로 바꾸기
[root@H200 test2]# chmod 755 a.sh
[root@H200 test2]# ls -al
합계 3
drwxr-xr-x 2 root root 1024 5월 24 20:18 .
drwxr-xr-x 7 root root 1024 5월 24 20:14 ..
-rwxr-xr-x 1 root root 53 5월 24 20:18 a.sh
[root@H200 test2]# ./a.sh - 실행
[root@H200 test2]# df -i 를 실행해보면 더이상 파일을 만들수 없다. IFree : 0 , IUse% : 100%
[root@H200 test2]# df 를 실행해보면 용량은 넉넉하게 남아있는것을 볼수 있다 (즉, 파일갯수만 더이상 생성할수 없다는 말)
2. 파티션 내 용량
*/boot내의 모든 용량을 소비해보자
[root@H200 test2]# dd if=/dev/zero of=a.txt bs=1024 count=30000 -용량이 100%될때까지 파일명을바꾸어가며 반복실행해보자
30000+0개의 레코드를 입력하였습니다
30000+0개의 레코드를 출력하였습니다
[root@H200 test2]# df -i 를 실행해보면 파일은 만들수 있다.
[root@H200 test2]# df 를 실행해보면 용량이 꽉차 있는것을 볼수 있다
(보충해야할 부분) ㅡ.ㅡ;
*adduser 말고 골격으로 유저생성하는 법 책에서 정리할것~!!!!!!
*[root@H200 home]# tail -1 /etc/passwd
*/etc/passwd , /etc/group 개념정리할것~!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8230 | 9년 전 | 59 | ||
| 8229 | 9년 전 | 58 | ||
| 8228 |
커네드커네드
|
9년 전 | 105 | |
| 8227 | 9년 전 | 112 | ||
| 8226 | 9년 전 | 148 | ||
| 8225 | 9년 전 | 138 | ||
| 8224 | 9년 전 | 138 | ||
| 8223 | 9년 전 | 102 | ||
| 8222 |
|
9년 전 | 166 | |
| 8221 | 9년 전 | 78 | ||
| 8220 | 9년 전 | 83 | ||
| 8219 | 9년 전 | 90 | ||
| 8218 | 9년 전 | 121 | ||
| 8217 |
star3840
|
9년 전 | 101 | |
| 8216 | 9년 전 | 143 | ||
| 8215 | 9년 전 | 98 | ||
| 8214 | 9년 전 | 213 | ||
| 8213 | 9년 전 | 145 | ||
| 8212 | 9년 전 | 66 | ||
| 8211 | 9년 전 | 230 | ||
| 8210 | 9년 전 | 232 | ||
| 8209 | 9년 전 | 324 | ||
| 8208 | 9년 전 | 197 | ||
| 8207 | 9년 전 | 207 | ||
| 8206 |
|
9년 전 | 173 | |
| 8205 | 9년 전 | 156 | ||
| 8204 | 9년 전 | 118 | ||
| 8203 | 9년 전 | 219 | ||
| 8202 | 9년 전 | 131 | ||
| 8201 | 9년 전 | 168 | ||
| 8200 | 9년 전 | 142 | ||
| 8199 | 9년 전 | 196 | ||
| 8198 | 9년 전 | 162 | ||
| 8197 | 9년 전 | 149 | ||
| 8196 | 9년 전 | 532 | ||
| 8195 | 9년 전 | 143 | ||
| 8194 | 9년 전 | 272 | ||
| 8193 | 9년 전 | 144 | ||
| 8192 | 9년 전 | 172 | ||
| 8191 | 9년 전 | 124 | ||
| 8190 | 9년 전 | 115 | ||
| 8189 | 9년 전 | 174 | ||
| 8188 | 9년 전 | 117 | ||
| 8187 | 9년 전 | 125 | ||
| 8186 | 9년 전 | 134 | ||
| 8185 | 9년 전 | 299 | ||
| 8184 | 9년 전 | 94 | ||
| 8183 | 9년 전 | 311 | ||
| 8182 | 9년 전 | 152 | ||
| 8181 | 9년 전 | 117 | ||
| 8180 | 9년 전 | 683 | ||
| 8179 | 9년 전 | 476 | ||
| 8178 | 9년 전 | 285 | ||
| 8177 |
kiplayer
|
9년 전 | 299 | |
| 8176 | 9년 전 | 337 | ||
| 8175 | 9년 전 | 207 | ||
| 8174 | 9년 전 | 220 | ||
| 8173 | 9년 전 | 329 | ||
| 8172 | 9년 전 | 179 | ||
| 8171 | 9년 전 | 167 | ||
| 8170 | 9년 전 | 284 | ||
| 8169 |
커네드커네드
|
9년 전 | 246 | |
| 8168 | 9년 전 | 305 | ||
| 8167 | 9년 전 | 310 | ||
| 8166 | 9년 전 | 220 | ||
| 8165 | 9년 전 | 151 | ||
| 8164 | 9년 전 | 287 | ||
| 8163 | 9년 전 | 271 | ||
| 8162 | 9년 전 | 283 | ||
| 8161 | 9년 전 | 280 | ||
| 8160 |
|
9년 전 | 476 | |
| 8159 | 9년 전 | 400 | ||
| 8158 | 9년 전 | 218 | ||
| 8157 | 9년 전 | 354 | ||
| 8156 | 9년 전 | 267 | ||
| 8155 | 9년 전 | 241 | ||
| 8154 |
00년생용띠
|
9년 전 | 585 | |
| 8153 | 9년 전 | 217 | ||
| 8152 |
|
9년 전 | 393 | |
| 8151 | 9년 전 | 391 | ||
| 8150 | 9년 전 | 485 | ||
| 8149 |
Jangfolk
|
9년 전 | 323 | |
| 8148 | 9년 전 | 155 | ||
| 8147 | 9년 전 | 361 | ||
| 8146 | 9년 전 | 418 | ||
| 8145 | 9년 전 | 356 | ||
| 8144 | 9년 전 | 324 | ||
| 8143 | 9년 전 | 175 | ||
| 8142 | 9년 전 | 418 | ||
| 8141 | 9년 전 | 364 | ||
| 8140 | 9년 전 | 916 | ||
| 8139 | 9년 전 | 243 | ||
| 8138 |
전갈자리남자
|
9년 전 | 378 | |
| 8137 | 9년 전 | 369 | ||
| 8136 | 9년 전 | 724 | ||
| 8135 |
|
9년 전 | 777 | |
| 8134 |
PlayPixel
|
9년 전 | 491 | |
| 8133 |
|
9년 전 | 424 | |
| 8132 | 9년 전 | 437 | ||
| 8131 | 9년 전 | 799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