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계정
*adduser 명령을 실행하면 변화가 나타나는 폴더들 (즉, 유저를 생성하려면)
1. /home 아래에 유저명의 폴더생성
2. /etc/passwd 정보 추가
3. /etc/group 정보 추가
4. /etc/skel
사용자 계정 생성
# adduser jslover (생성)
# passwd jslover (패스워드 설정 및 변경 )
사용자 계정 삭제
# userdel -r ljs
( adduser 옵션)
사용자 설명을 부가하여 생성
# adduser -c 01190722595 ljs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사용자 걔정 생성 (디폴트로 /home에 생성)
# adduser ljs -d /users/ljs
→ /users 폴더 아래 /ljs 사용자 폴더를 만들고 ljs 계정을 생성
UID
- 기본적으로 UID는 500부터 시작하여 자동증가하며 자동적으로 부여된다
UID를 특별한 값으로 지정하기
# adduser ljs -u505
사용자 정보 보기
# cat /etc/passwd
사용자 쉘(shell) 지정해주기
# adduser ljs -s /bin/tcsh
※ /etc/login.defs 파일의 역활 : UID,GID 시작값은 최소 500인데 이파일에서 수정할수 있다
※ /etc/skel : 새로운 계정을 추가할 때 먼저 /etc/skel 디렉토리 내에 있는 파일들이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복사되어서 사용자 홈 디렉토리가 만들어지는것이다.
: 이 폴더내에 추가된 계정 이용자에게 어떤 메세지를 주고자 할때 파일을 만들어 넣어두면 유용하다(message, readme)
useradd 명령의 기본 설정값 변경하기
1. useradd -D 옵션 기본 설정값 확인
[root@H200 home]# useradd -D
그룹=100
홈디렉토리=/home
비활성화=-1
만기=
쉘=/bin/bash
SKEL=/etc/skel
2. 사용자 기본 홈 디렉토리를 /home 에서 /users로 변경해보자
# adduser -D -b /users
3. 기본 쉘을 /bin/bash에서 /bin/tcsh로 변경하기
# adduser -D -s /bin/tcsh
※ 실계정은 발급하되 로그인 불가능하게 하기
- /etc/passwd 파일에서 /bin/bash 부분을 /bin/false 나 /bin/nologin 으로 바꿔준다
계정 패스워드 관리
# chage -M 15 -E 2005/05/30 ljs1
→ 유효만기일 15일 전부터 패스워드 변경요구(-M)
→ 2005년 5월 30일까지 계정 사용 만료(-E)
패스워드 유효기간 설정 확인
[root@H200 home]# chage -l ljs1
최소: 0
최대: 15
경고: 7
유효하지 않음: -1
마지막 변경: 5월 24, 2005
패스워드 만기: 6월 08, 2005
패스워드가 유효하지 않음: 불가
계정 만기: 5월 30, 2005
계정 사용자 정보 변경
# usermod -s /bin/tcsh ljs (옵션은 adduser 옵션 내용과 같음)
사용자 계정 바꾸기(su)
*일반 사용자 추가 : # adduser ljs
*일반 사용자로 바꾸는것 : #su - ljs
*다시 root 사용자로 바꾸는것 : $ su - (패스워드를 다시 물어본다)
※ su 다음에 - 를 넣어야만 로그온한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 이전상태 계정으로 되돌아올때는 exit 명령.
환경변수 $PATH
[root@H200 home] # su ljs
[ljs@H200 home] $ su
Password:
[root@H200 home] # echo $PATH
/usr/local/sbin:/usr/local/bin:/sbin:/bin:/usr/sbin:/usr/bin:/usr/X11R6/bin:/root/bin
[root@H200 home]# su - ljs
[ljs@H200 ljs] $ su -
Password:
[root@H200 root]# echo $PATH
/bin:/sbin:/usr/bin:/usr/sbin:/usr/local/bin:/usr/local/sbin:/usr/bin/X11:/usr/X11R6/bin:/root/bin
로그인 관리
1. 쉘 변경
→ 유저 로그인 못하게 하기
#usermod -s /sbin/nologin jongsuck
→ 다시 로그인하게 하기
#usermod -s /bin/basn jongsuck
2. /etc/pam.d/login 수정
→ /etc/pam.d/login 파일을 vi로 열어 파일 첫줄에 다음 한줄을 추가한다
[ auth required /lib/security/pam_listfile.so item=user sense=allow file=/etc/loginuser onerror=succeed ]
→ /etc/loginuser 파일 생성하고 로그인 가능한 계정 추가
→ 로그인거부는 /etc/nologinuser 파일 생성하고 계정 추가하고, sense=deny 로, file=/etc/nologinuser 로 변경
그룹 관리
그룹 생성
# groupadd ljs
특정 GID 부여해서 그룹생성
# groupadd -g 801 ljs
그룹 삭제
# groupdel ljs
그룹 속성 변경
#groupmod -n ljs linux
→ linux 사용자 그룹을 ljs 그룹으로 변경하는 내용
*그룹 바꾸기
[root@H200 home]# chgrp jongsuck /home/ljsabc (ljsabc 유저디렉토리 의 그룹을 jongsuck 그룹으로 바꾼다)
*그룹 권한 바꾸기
[root@H200 home]# chmod 770 /home/ljsabc/ -- ljsabc 그룹 권한 바꾸기
(끝에 /를 꼭 붙여야 한다. 안그러면 전부다 권한이 바뀐다)
※ #id : 자신의 UID , GID 를 볼수있다
LS옵션
# ls -al /etc/ | less : 한 페이지별로 출력하라
grep
# grep root /etc/passwd : /etc /passwd 폴더내의 root와 관련된것을 출력하라
# ls -al /etc/|grep passwd : /etc 밑에 passwd와 관련된것을 출력하라
환경변수 $HOME (홈디렉토리)
*홈디렉토리 환경변수 보기 및 변경
[root@H200 etc]# echo $HOME (보기)
/root
[root@H200 etc]# cd ~ (보기)
[root@H200 root]# HOME= /tmp (변경)
[root@H200 root]# echo $HOME
/tmp
[root@H200 root]# cd ~
[root@H200 tmp]#
파티션 용량 및 파일갯수
# df : 파티션 용량 정보
# df -i : 파티션 내의 파일갯수 정보 (앞으로 생성할수 있는 파일갯수 정보)
1. 파티션 내 파일갯수
※ 수많은 파일 한꺼번에 만들기
- 쉘 프로그램 사용
[root@H200 test2]# touch a.sh
[root@H200 test2]# vi a.sh
1 #!/bin/sh - 쉘프로그램 만들때 써주는 주석
2 i=0
3 while:
4 do
5 touch ${i}
6 i=$(( $i+1))
7 done
..... 용량이 다 찰때까지 파일을 생성하라
[root@H200 test2]# ls
a.sh
[root@H200 test2]# ls -al
합계 3
drwxr-xr-x 2 root root 1024 5월 24 20:18 .
drwxr-xr-x 7 root root 1024 5월 24 20:14 ..
-rw-r--r-- 1 root root 53 5월 24 20:18 a.sh
*a.sh를 실행파일로 바꾸기
[root@H200 test2]# chmod 755 a.sh
[root@H200 test2]# ls -al
합계 3
drwxr-xr-x 2 root root 1024 5월 24 20:18 .
drwxr-xr-x 7 root root 1024 5월 24 20:14 ..
-rwxr-xr-x 1 root root 53 5월 24 20:18 a.sh
[root@H200 test2]# ./a.sh - 실행
[root@H200 test2]# df -i 를 실행해보면 더이상 파일을 만들수 없다. IFree : 0 , IUse% : 100%
[root@H200 test2]# df 를 실행해보면 용량은 넉넉하게 남아있는것을 볼수 있다 (즉, 파일갯수만 더이상 생성할수 없다는 말)
2. 파티션 내 용량
*/boot내의 모든 용량을 소비해보자
[root@H200 test2]# dd if=/dev/zero of=a.txt bs=1024 count=30000 -용량이 100%될때까지 파일명을바꾸어가며 반복실행해보자
30000+0개의 레코드를 입력하였습니다
30000+0개의 레코드를 출력하였습니다
[root@H200 test2]# df -i 를 실행해보면 파일은 만들수 있다.
[root@H200 test2]# df 를 실행해보면 용량이 꽉차 있는것을 볼수 있다
(보충해야할 부분) ㅡ.ㅡ;
*adduser 말고 골격으로 유저생성하는 법 책에서 정리할것~!!!!!!
*[root@H200 home]# tail -1 /etc/passwd
*/etc/passwd , /etc/group 개념정리할것~!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7830 | 9년 전 | 378 | ||
| 7829 |
|
9년 전 | 555 | |
| 7828 | 9년 전 | 489 | ||
| 7827 | 9년 전 | 373 | ||
| 7826 | 9년 전 | 382 | ||
| 7825 | 9년 전 | 436 | ||
| 7824 | 9년 전 | 417 | ||
| 7823 | 9년 전 | 324 | ||
| 7822 | 9년 전 | 319 | ||
| 7821 | 9년 전 | 264 | ||
| 7820 | 9년 전 | 319 | ||
| 7819 |
|
9년 전 | 723 | |
| 7818 | 10년 전 | 336 | ||
| 7817 | 10년 전 | 456 | ||
| 7816 | 10년 전 | 358 | ||
| 7815 | 10년 전 | 564 | ||
| 7814 | 10년 전 | 389 | ||
| 7813 | 10년 전 | 333 | ||
| 7812 | 10년 전 | 347 | ||
| 7811 | 10년 전 | 362 | ||
| 7810 | 10년 전 | 495 | ||
| 7809 | 10년 전 | 438 | ||
| 7808 | 10년 전 | 303 | ||
| 7807 | 10년 전 | 362 | ||
| 7806 |
프로그래머7
|
10년 전 | 1309 | |
| 7805 | 10년 전 | 1225 | ||
| 7804 |
zahir1312
|
10년 전 | 746 | |
| 7803 |
|
10년 전 | 1346 | |
| 7802 | 10년 전 | 404 | ||
| 7801 | 10년 전 | 831 | ||
| 7800 | 10년 전 | 1053 | ||
| 7799 | 10년 전 | 507 | ||
| 7798 | 10년 전 | 455 | ||
| 7797 | 10년 전 | 453 | ||
| 7796 | 10년 전 | 304 | ||
| 7795 | 10년 전 | 456 | ||
| 7794 | 10년 전 | 480 | ||
| 7793 | 10년 전 | 1000 | ||
| 7792 | 10년 전 | 409 | ||
| 7791 | 10년 전 | 492 | ||
| 7790 | 10년 전 | 457 | ||
| 7789 |
fbastore
|
10년 전 | 1403 | |
| 7788 | 10년 전 | 488 | ||
| 7787 | 10년 전 | 356 | ||
| 7786 | 10년 전 | 509 | ||
| 7785 | 10년 전 | 527 | ||
| 7784 | 10년 전 | 593 | ||
| 7783 | 10년 전 | 394 | ||
| 7782 | 10년 전 | 448 | ||
| 7781 | 10년 전 | 852 | ||
| 7780 | 10년 전 | 780 | ||
| 7779 | 10년 전 | 748 | ||
| 7778 | 10년 전 | 316 | ||
| 7777 | 10년 전 | 401 | ||
| 7776 | 10년 전 | 406 | ||
| 7775 | 10년 전 | 341 | ||
| 7774 | 10년 전 | 602 | ||
| 7773 | 10년 전 | 323 | ||
| 7772 | 10년 전 | 669 | ||
| 7771 | 10년 전 | 329 | ||
| 7770 | 10년 전 | 614 | ||
| 7769 | 10년 전 | 332 | ||
| 7768 | 10년 전 | 548 | ||
| 7767 | 10년 전 | 1116 | ||
| 7766 | 10년 전 | 444 | ||
| 7765 | 10년 전 | 479 | ||
| 7764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327 | |
| 7763 |
|
10년 전 | 1401 | |
| 7762 |
Tosea
|
10년 전 | 1019 | |
| 7761 | 10년 전 | 614 | ||
| 7760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07 | |
| 7759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22 | |
| 7758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36 | |
| 7757 | 10년 전 | 1182 | ||
| 7756 |
ITBANK
|
10년 전 | 1218 | |
| 7755 | 10년 전 | 1896 | ||
| 7754 | 10년 전 | 1000 | ||
| 7753 | 10년 전 | 844 | ||
| 7752 | 10년 전 | 1349 | ||
| 7751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75 | |
| 7750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41 | |
| 7749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42 | |
| 7748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21 | |
| 7747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15 | |
| 7746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34 | |
| 7745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877 | |
| 7744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389 | |
| 7743 | 10년 전 | 912 | ||
| 7742 |
starbros
|
10년 전 | 787 | |
| 7741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08 | |
| 7740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79 | |
| 7739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37 | |
| 7738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90 | |
| 7737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49 | |
| 7736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71 | |
| 7735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802 | |
| 7734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397 | |
| 7733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98 | |
| 7732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53 | |
| 7731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79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