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Linux 명령어 사용방법

· 18년 전 · 6010

Linux 명령어 사용방법
 

3.1 prompt의 의미
[root @linux /root]#_ 부분을 prompt라고 한다.
기본 구조
[계정 @호스트 이름 /현 작업 디렉토리]#커서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표시한다.
로그인할 때 root라고 입력하고 패스워드를 입력하셨다면 /root 디렉토리, 즉 루트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커서가 위치해 있을 것이고, 설치시에 설정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였다면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된다.
root 계정의 홈 디렉토리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 계정은 /home 디렉토리 아래 위치한다.

3.2 ls
list의 의미
파일 시스템 상의 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형식
#ls [ -옵션 ][ 파일명(들) ]
-a : dot(.)로 시작되는 이름을 가진 파일명도 전부 보여준다.
-l : 각 파일들에 대한 소유자, 권한, 갱신일 등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s : 파일이 얼마나 많은 디스크 블록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보여준다.
-i : 파일의 inode 번호를 보여준다.
-F : 파일의 특성을 쉽게 알 수 있는 문자를 나타낸다.
+는 실행 가능한 파일을, /는 디렉토리 이름을 의미하고, @는 심볼릭 링크를 나타내고, =는 소켓(socket)을 나타낸다.
-R : 현 디렉토리의 내용은 물론이고 sub 디렉토리의 내용까지 전부 보여준다.
-d : 각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하위 디렉토리만을 보여준다.
사용 예
#ls
#ls –l
#ls –alF /root

 


3.3 cd
change directory의 의미
현재 작업하는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형식
#cd [ 디렉토리 ]
cd 명령과 디렉토리 이름 사이에 반드시 공백이 있어야 한다. 디렉토리 이름을 주지 않고 수행하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는 자신에게 실행 권한(execution permission)이 있어야 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cd /home 
[root @edu00 /home]#pwd 
/home
[root @edu00 /home]#cd ~
[root @edu00 /home]#cd ..

3.4 pwd
present working directory의 의미
현재 작업하는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pwd
/home/linux

3.5 cat
이것은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파일을 다른 곳에 순차적인 스트림으로 보내기 위해 사용된다. 즉 크기가 작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형식
#cat [ 파일명 ]
옵션
-n : 빈줄을 포함하여 모든 라인앞에 행번호를 추가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cat 파일명

 

 

[root @edu00 linux]#cat > foo
I am a linuxer.
^D
[root @edu00 linux]#cat foo

3.6 finger
시스템 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형식
#finger [ -옵션] [ 사용자 ]
-s : 사용자의 로그온 이름, 실제이름, 터미널 이름, 로그온 시간 등등을 보인다.
-I :  -s 옵션 정보에 몇 가지를 추가하여, 여러 줄에 걸쳐서 보여준다.
인수로 아무 것도 주어지지 않으면, finger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보여준다.
옵션이 주어지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l 옵션을 사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finger
Login Name  Tty Idle Login Time Office Office Phone
Edu00 rose     2      1 Oct 20 11:31
root  root  1  Oct 20 11:28

3.7 mkdir
make directory의 의미
디렉토리를 새로 만든다.
형식
# mkdir directory
옵션
-p : 디렉토리의 경로명까지 생성
-m : 퍼미션 모드를 설정하면서 디렉토리 생성
사용 예
[root @edu00 linux]#mkdir blade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작성
[root @edu00 linux]#cd blade 
[root @edu00 linux]#mkdir –p /home/edu01/edu02/edu03

 


3.8 rm
remove의 의미
파일을 지우는 명령이다.
형식
# rm [ -옵션 ] 파일명
옵션
-f : 보통 지울 수 있는 권한이 없으면 안되지만, 이 옵션을 사용하면 강제로 파일을 지
울 수 있다.
-i : 파일을 지울 것인가 다시 물어본다. 지우기를 원한다면 y를 누른다.
-r : 서브 디렉토리의 파일도 모두 재귀적으로 지운다.
-v : 파일을 지우기 전에 파일의 이름을 나타내준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rm blade.Z 
[root @edu00 linux]#rm report.txt tempfile object.mainroutine hello.java
[root @edu00 linux]#rm -r blade  
: blade와 하위 디렉토리 파일 모두를 제거
[root @edu00 /]#rm –rf * ( 이 명령을 사용할 경우 항상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확인)

3.9  rmdir
remove directory의 의미
원하는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단 디렉토리가 비어있을 경우에만 삭제가 가능하다.
형식
# rmdir 디렉토리
옵션
-p : 경로명에 따라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단 하위 디렉토리가 비어있을 경우에만 삭제가 가능하다.

3.10  who
현재의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이나 로그온 정보를 보여준다.
형식
#who [ -옵션 ] [로그온 정보파일 ]
옵션

 


-u : 현재 시스템에 누가 로그온되어 있는지 보여준다.
-T : 사용자의 터미널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기호는 메시지를 쓸 수
있고, -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준다.
 
3.11 more
한 화면씩 출력을 보여주는 유틸리티, 한 번에 전체적으로 볼 수 없는 파일은 이것을 사용하여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형식
#more [ 파일이름 ]

3.12 clear
clear 명령은 도스의 cls와 마찬가지로 화면을 지우는 동작을 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clear

3.13  cp
파일을 현재의 위치나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copy)한다.
형식
#cp [ -옵션 ] 파일명1 파일명2
#cp [ -옵션 ] 파일명 디렉토리
옵션
-a : 가능한 한 원 파일의 구조와 속성을 그대로 복사한다.
-b : 복사할 때 덮어쓰게 되는 파일은 백업을 만든다.
-f : 복사 위치에 존재하는 파일을 제거하고 복사한다.
-i : 복사 시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덮어쓸 것인가 확인한다.
-P : 원본 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시간 기록을 그대로 복사한다.
-r :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 모두를 재귀적으로 복사한다.
만일 파일명2가 이미 존재하는 파일의 이름이라면 기존에 있던 파일은 사라지고 새로운 복사본 파일로 바뀐다. 이것이 원하지 않는 결과라면 -i 옵션을 주어서 확인 작업을 거칠 수 있다.
-i 옵션은 파일명2가 이미 존재하는 이름이라면 그대로 복사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게 물어온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 cp -i blade.Z temp.Z
[root @edu00 linux]# cp -r * /somewhere
: 당연히 -r 옵션은 파일명2가 디렉토리 이름일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

3.14  mv
move의 의미
파일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파일의 이름을 바꾸어준다.
형식
#mv [ -옵션 ] 파일명1 파일명2
#mv [ -옵션 ] 파일명(들) 디렉토리명
옵션
-f :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하고 쓰기 권한이 금지되어 있더라도 물어보지 않고 덮어
쓰기를 해버린다. 이런 경우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다시 확인을
할 것이다.
-i : 파일을 덮어쓰기 전에 사용자에게 확인한다. 기존에 있던 파일을 원치 않게 잃어버리는 수가 있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면 -i 옵션을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mv sisap.hong victor.dongki readme.txt  ../friend 
[root @edu00 linux]#mv blade.Z ../kimtaihan.Z 
[root @edu00 linux]#mv /home/blade  /home/friend 
[root @edu00 linux]#mv sisap.doc LeeKiHong.doc 

3.15  date
시스템은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유지하고 있다.
date 명령을 사용하면 그러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날짜와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은 슈퍼 유저만이 변경할 수 있다.
형식
#date
#date 월 일 시 분 년도
사용 예
[root @edu00 linux]#date 
Tue Apr 25 17:45:09 KST 2000
[root @edu00 linux]#date 101116302001
현재의 날짜를 2001년 10월 11일 오후 4시 30분으로 시간을 변경

 

 


3.16 du and df
3.16.1 du
disk usage의 의미
형식
#du [-옵션] [디렉토리]
옵션
-a : 디렉토리가 아닌 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k : kilobyte 단위로 표시
-m : megabyte 단위로 표시
-h : human readable이란 의미에 따라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용량의 단위표시를 하면서 화면에 출력이 된다.
-s : 사용량의 총 합계를 출력한다.
사용 예
#du -sh /home
/home디렉토리의 총사용량을 단위표시를 해서 화면에 출력해 지정된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한다.
3.16.2 df
difk free의 의미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검사하여 보고한다.
형식
#df [ -옵션 ] 파일시스템
-i : 블록 사용 대신 inode 사용 정보를 보고한다.
-k : 블록의 크기를 1K바이트로 계산한다. 이것은 바이트 크기를 사용하는 대신 블록 단위로 보고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512바이트 크기로 한 블록을 다룬다.
-T : 각 파티션의 파일시스템의 유형도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 예
#df
#df -mt

3.17  env
현재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하는 환경을 만들어 명령을 실행한다. 또는 현재의

 


환경을 보고한다.
형식
# env [ - ][-i ][ -u 이름 ][ 이름=값 ][명령]
옵션
-i : 현재의 환경을 무시하고 빈 환경 상태로 시작한다.
-u 이름 : 현재의 환경에 그 이름의 변수가 있다면 제거한다. “이름=값”형식으로 특
정 환경 변수를 지정해서 명령을 실행한다. 이러한 값을 필요한 대로 여러 개 나열하
면 되고, 현재의 환경은 변경하지 않으므로 명령의 수행이 끝나면 환경의 상태는 이
전과 다름없게 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env HOME=/usr/victor tsh
: 디렉토리 변수를 지정하여 셸을 실행한다.
[root @edu00 linux]#env 
:  현재 설정되어 있는 환경 변수들을 보여준다.

3.18  find
원하는 특정 파일을 디렉토리를 탐색하여 찾는다. find는 매우 강력한 도구로 특정 디렉토리들을 순회하면서 지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찾는다. 파일의 조건은 이름이나 크기, 날짜 등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
형식
#find [ 디렉토리 ] 탐색 조건
옵션
-name 파일명 : 찾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을 정한다. 와일드 카드도 가능하다.
-user 사용자 : 파일 사용자의 ID에 따라서 검색한다. 로그인 이름이나 번호 모두가 가
능하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find  /bin  -name ro*
 
3.19  chmod
파일의 모드를 바꾼다. 파일의 모드는 권한(permission) 을 제어한다.
형식
#chmod [ -옵션 ] 모드 파일명(들)

 


옵션
-f : 파일의 권한이 바뀔 수 없어도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v : 변경된 권한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R : 디렉토리와 파일들의 권한을 재귀적으로 모두 바꾼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chmod 666 broadboard 
: 파일을 모두가 읽고 쓸 수 있도록 한다.
[root @edu00 linux]#chmod 746 broad
: 파일 권한을 -rwxr--rw-로 변경한다.
[root @edu00 linux]#chmod o+x,g-w broadboard

3.20 file
파일이 어떠한 형태의 파일인지 알아낸다.
형식
#file 파일명
파일이 텍스트 문서인지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인지 아니면 데이터 파일인지등을 인식한다. 에디터를 사용해서 보거나 수정될 수 있는 파일인가 알아 보는 데에 많이 사용된다.

3.21  ln
두 개의 파일 사이에 링크를 만들어, 하나의 파일을 두 개 이상의 이름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형식
#ln [ -s ] 파일명1 파일명2
#ln 파일명들 디렉토리
옵션
-s : 하드 링크 대신 심볼릭 링크를 만든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ln project theplan 
: 두 개의 이름은 같은 문서를 의미한다.

3.21 man
사용하고자 하는 유닉스 유틸리티에 대한 매뉴얼(manual)을 검색해서 보여준다.

 


셸을 사용할 때 어떤 명령의 사용법이 기억 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혹은 매번 사용하던 명령이라도 특수한 옵션이 필요할 때 그 기호나 사용법을 정확히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면 매우 유용하다.
형식
#man  단어
옵션
-k : 인수로 주어진 단어를 키워드로 사용하여, 해당 키워드가 발견되는 모든  매뉴얼
의 내용을 검색하여 보여준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man telnet
[root @edu00 linux]# man -k 키워드


3.22 history
현재까지 실행했던 모든 명령어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즉, 명령행에서 입력해 사용해왔던 명령어들을 다시 사용고자 할 때 이 명령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사용 예
#!!
마지막으로 실행했던 명령어를 다시 실행한다.
#!n
번호에 주어진 명령어가 실행이 된다.
#!단어
가장 최근에 그 단어로 시작하는 명령어를 다시 실행한다.
#!?단어?
가장 최근에 실행했던 명령어들 중 단어를 포함하는 명령문을 다시 실행한다.

3.23 passwd
리눅스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와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개인용 서버 시스템이다.
즉,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여러 계정이 있고 각 계정마다 자기에게 허가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자기에게 허가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에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 로그인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각 계정과 각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이다.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고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형식
#passwd [-옵션] (계정명)
옵션
-p :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를 삭제하여 로그인시 패스워드 인증을 거치지 않는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passwd
[root @edu00 linux]#passwd 계정명

3.24 cal
달력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형식
#cal [-옵션][월/년도]
옵션
-m : 특정 월을 지정하여 출력한다.
-y : 특정 년도를 지정하여 출력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

3.25 engdic
영한 사전 및 한영 사전의 기능을 제공한다.
형식
#engdic

3.26 ps
process의 의미
프로세스를 관리하는명령어로 프로세스의 상태를 표시한다.
형식
#ps [-옵션]
옵션
-a
-u
-x
사용 예
[root @edu00 linux]#ps –aux
[root @edu00 linux]#ps –aux | grep httpd

3.27 su
substitute user의 의미
실제로 로그인하지 않고 로그인의 기능을 대체하는 명령어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root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작업을 하면 시스템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설치시에 설정한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작업을 하다가 시스템 관리자로서 설정을 해야 하는 일이 있다면 su라는 명령어를 이용해시스템 관리자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계정으로 전환해서 작업을 할 수도 있다..
형식
#su [-옵션]
옵션
-, -l, --login:
사용 예
[root @edu00 linux]#su - 계정명
[linux @edu00 linux]$su –

3.28 nl
line number의 의미
파일을 출력할 때 파일의 각 라인앞에 라인 번호를 붙여서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 예
[root @edu00 linux]#nl /etc/passwd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2201
12200
29244
12196
29243
12188
12184
29231
29230
12181
기타 툴팁 2
29229
12179
12177
12173
29226
12172
25007
12171
12170
29225
12167
12166
12157
12154
12153
25002
12151
29224
12148
29223
12142
29217
12141
12136
12132
12130
29216
29215
12126
12124
12122
12120
12111
25001
25000
24999
24998
24997
24994
24985
12109
12105
12104
12096
12094
12091
12090
12079
29211
12072
29210
12070
29207
12067
12061
29204
12058
12057
12056
24984
12055
12053
12051
MySQL apm 1
12050
MySQL LOG
12049
12048
기타 dhcp
12047
12046
12045
12044
12043
JavaScript vi
12042
기타 Nis/NFS
12041
12040
JavaScript
12039
기타 Process
12038
12037
12036
12035
JavaScript Quota
12034
MySQL LOG
12033
12032
12031
JavaScript IPCHAINS
12028
12026
12025
12020
12017
12015
1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