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그누보드 최신버전 (5.1.0) 살펴보기 - common.php (5)

· 10년 전 · 1343 · 5

그누보드 최신버전 (5.1.0) 살펴보기 - common.php (5)

 

 

 

common.php 그누보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파일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모든 파일에 기본적으로 인클루드 되어서 사용됩니다.

 

에러출력 설정, 보안적인 처리, 기본적인 경로 설정, 디비연결, 세션 설정및 시작, 공용변수의 초기화 및 재설정, 기타 확장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ini_set("session.use_trans_sid", 0);

@ini_set("url_rewriter.tags","");

 

session_save_path(G5_SESSION_PATH);

 

if (isset($SESSION_CACHE_LIMITER))

    @session_cache_limiter($SESSION_CACHE_LIMITER);

else

    @session_cache_limiter("no-cache, must-revalidate");

 

ini_set("session.cache_expire", 180);

ini_set("session.gc_maxlifetime", 10800); 

ini_set("session.gc_probability", 1); 

ini_set("session.gc_divisor", 100); 

 

session_set_cookie_params(0, '/');

ini_set("session.cookie_domain", G5_COOKIE_DOMAIN);

 

@session_start();

 

 

 

ini_set 은 php.ini 에 설정할수 있는 환경설정값을 php 실행시에 현재 접속에 대해서만 설정 하는 함수 입니다.

이 함수는 서버의 설정에 따라 사용이 금지 되어 있을수도 있고, php 버전에 따라 설정할수 있는 옵션의 차이도 있을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를 항상 앞에 붙이는 것이 좋다고 보여집니다.

 

http://php.net/manual/kr/function.ini-set.php

 

string ini_set ( string $varname , string $newvalue )

 

 

 

세션 관련 환경 설정값은

http://php.net/manual/kr/session.configuration.php

에 잘 나와있습니다.

 

session.use_trans_sid -> url 을 통해서 세션아이디(기본 - PHPSESSID) 를 전달 할수 있느냐 여부, false(0) 은 불가 true(1) 은 가능

보안상 크게 좋을것이 없으므로 0 또는 false 를 설정합니다.

 

url_rewriter.tags -> php 가 html 출력시에 세션아이디(기본 - PHPSESSID) 를 각 태그의 src 나 href 같은 속성에 자동으로 넣을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보안상 크게 좋을것이 없으므로 아무값도 설정하지 않습니다.

 

session.save_path -> 세션을 저장하는 매체를 파일로 사용중일 경우, 세션파일이 저장될 기본 위치를 지정합니다.

session_save_path() 함수를 통해 설정가능하므로, 그누보드에서는 session_save_path() 을 사용

 

session.cache_limiter -> 세션을 사용하는 페이지의 캐시 제어 방법을 지정, nocache, private, private_no_expire, public 중 하나 사용가능

session_cache_limiter() 함수를 통해 설정가능하므로, 그누보드에서는 session_cache_limiter() 을 사용

그런데, http://php.net/manual/kr/function.session-cache-limiter.php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같은 하나만 설정할수 있으므로

@session_cache_limiter("no-cache, must-revalidate"); 은 잘 못 되었고,

@session_cache_limiter("nocache"); 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nocache 로 설정했을때 출력되는 헤더, 캐시 사용하지 않음

Cache-Control: no-store, no-cache, must-revalidate, post-check=0, pre-check=0

 

public 로 설정했을때 출력되는 헤더, 캐시 프록시, 클라이언트 모두 사용

Cache-Control: public, max-age=10800

 

private 로 설정했을때 출력되는 헤더, 캐시 클라이언트만 사용

Cache-Control: private, max-age=10800, pre-check=10800

 

session.cache_expire -> 세션을 사용하는 페이지의 캐시가 살아있을 시간을 분으로 설정, session_cache_limiter("nocache"); 일때는 의미가 없습니다.

출력되는 헤더 중 Cache-Control 에 max-age=(session.cache_expirer값 * 60), pre-check=(session.cache_expirer값 * 60) 와 같이 추가로 나옵니다.

 

session.gc_maxlifetime -> 세션을 파일로 사용 할경우 세션파일을 지울 시간을 초로 설정, 디비로 사용할 경우라면 해당 로우를 지울 시간을 초로 설정, 접속이 종료되고 난 이후에 동작합니다.

윈도우에서 세션을 파일로 사용할 경우에는 파일의 atime(수정시간)을 알수 없으므로 의미 없습니다.

 

session.gc_probability -> 이미 session.gc_maxlifetime 초를 지난 세션을 수거하는 확률을 지정, 분자에 해당

1 을 설정하면 session.gc_divisor분의 1 즉, session.gc_divisor 을 100로 설정했다면, 실행시 1%의 확률로 동작합니다.

 

session.gc_divisor -> 이미 session.gc_maxlifetime 초를 지난 세션을 수거하는 확률을 지정, 분모에 해당

100 을 설정하면 100분의 session.gc_probability 즉, session.gc_probability 을 1로 설정했다면, 실행시 1%의 확률로 동작합니다.

 

session.cookie_domain -> 세션 쿠키를 공유할 도메인 설정, 도메인 앞에 . 을 붙여 설정하면 그 도메인의 서브도메인과도 세션 쿠키가 공유됩니다.

 

void session_set_cookie_params ( int $lifetime [, string $path [, string $domain [, bool $secure [, bool $httponly ]]]] )

 

첫번째 인자 $lifetime 은 session.gc_maxlifetime 와 같은 의미입니다. session.gc_maxlifetime와 같게 설정하면 됩니다.

두번째인자 $path 는 세션쿠키가 작동할 도메인의 경로. 도메인의 모든 경로에 적용하려면 하나의 슬래시('/')를 사용합니다.

세번째인자 $domain 은 session.cookie_domain 와 같은 의미입니다.

네번째인자 $secure 는 true 설정시 세션쿠키는 안전한 접속으로만 전송됩니다.

다섯번째인자 $httponly 는 true 설정시 헤더의 쿠키 부분에 httponly 라고 같이 전송됩니다.

$path, $domain, $secure, $httponly 생략가능합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5개

바쁘신데 고맙습니다.
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28080
7612
7598
7595
19842
28079
19840
7593
28076
7590
28072
28065
19836
7586
28058
7573
31754
7552
28057
30993
28052
7546
7544
7538
7519
30992
19834
7517
7512
7511
19832
19820
7509
24658
7508
7507
19818
30990
7506
7505
7498
7492
28051
7481
30988
19813
19812
7477
7476
7471
7467
19810
7464
19809
7463
7457
30980
7450
28043
7447
7440
28040
7438
7430
7427
7423
7414
7408
7405
7401
7400
19808
7398
7393
7389
19805
7382
7379
7378
7363
7361
7356
19804
7355
7352
19786
7342
7336
7332
19783
7328
7325
7324
28036
19782
7321
26574
7314
7312
19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