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개발/테스트용 가짜 이미지

· 12년 전 · 2018 · 8
이게 퍼블리셔 일인지 디자이너 일인지 모르겠지만..

사이트 디자인할때 목업이나 와이어프레임작업을 할때,
아직 정해지지 않은 자리에 이미지를 넣고 전체 레이아웃등을 봐야 할때가 있습니다.
그럴때 사용하는 서비스? 로
placehold.it ( http://placehold.it/ ) 과 lorempixel ( http://lorempixel.com/ ) 을 종종 사용합니다.
둘다 이미지의 src 에, 웹사이트 주소 뒤에 적절한 문법에 따른 이미지 생성 주소를 사용합니다.
(예: <img src="http://lorempixel.com/400/200" /> ==> 400x200 짜리 랜덤 이미지 )

placehold.it이 단색의 이미지(와 글자) 를 제공해서 와이어프레임 작업에 좋은 반면,
lorempixel은 실제 이미지를 넣어주어서 최종 레이아웃 작업등에 좋은것 같습니다.

###
placehold.it의 문법은 http://placehold.it/400x200/eaa/aee&text=placehold.it
첫번째가 크기 (400x200, 만일 숫자 하나면 정사각형), 두번째가 bg 색, 세번째가 글자색, 그리고 &text= 뒤에 영문자로 글자를 넣을수 있습니다. 글자를 넣지 않으면 원 이미지의 크기가 글자로 나옵니다.

[위 링크의 결과]

[에디터?가 이미지 주소안의 &를 자꾸 html 문자로 바꿔버리네요.. 위 링크를 직접 클릭해보세요.]

###
lorempixel.com 도 비슷한 문법을 사용하는데, http://lorempixel.com/400/200/sports/lorempixel-com/
여기서는 빠져있지만, 첫번째에 'g'를 사용하면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를, 안쓰면 컬러이미지를,
그다음부터 가로, 세로는 꼭 써줘야 하고,
그 뒤에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고 (자세한 내용은 홈피를..)
마지막에 넣는 영문자/숫자 (-를 제외한 기호도 안됨)가 이미지의 왼쪽에 눕혀져서 나옵니다.

[위 링크의 결과]


###

혹시 여러분들이 사용하는 비슷한 사이트/서비스/기법이 있으면 같이 공유해요 !!

###사족###
아무 뜻없는 글씨로 유명한 lorem ipsum 등을 만들어주는 사이트도 있기는 한데, 한글이 아니고 매번 생성해서 붙이기도 그렇게 해서 많이 쓰지는 않네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8개

12년 전
coooooooooooool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tmp 이미지 슬라이싱할 필요가 없어지겟는데요!
@지운아빠, @퍼블리
쓸만하죠? ^^
좋네요 ^^!
12년 전
placehold.it 좋네요!
@mingQ, @돼지코구뇽 님
좋죠? ^^
오우!
12년 전
얽 굳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8790
JavaScript 공백제거
18788
18786
18783
18780
18769
5549
27272
27267
30785
30782
27264
18767
18765
18764
18763
5546
18760
18758
18755
18752
27256
27247
5539
18750
27244
27243
18749
18747
18745
18741
18740
18738
18731
18730
27240
5535
18728
18726
18724
5532
26500
27237
5529
30776
18721
20725
27232
18719
JavaScript 퀵메뉴 1
18717
18714
18712
18709
27213
27200
18706
18704
18702
18701
18700
18698
18697
18696
18694
5525
27199
18691
5515
5510
5501
18690
18687
5496
18686
18676
26496
18675
30773
18671
30767
18667
18658
18650
18648
5494
5490
20705
5485
18645
27194
20684
18642
5482
27185
5478
5473
5467
18636
5462
5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