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시작합니다.
/app.go
[code]
package main
import (
"github.com/gofiber/fiber/v2"
)
func main() {
app := fiber.New() // fiber 웹 서버 인스턴스 생성
app.Get("/", func(c *fiber.Ctx) error {
return c.SendString("Hello World")
})
app.Listen(":3000")
}
[/code]
터미널
[code]
$ go mod tidy
$ go run .
[/code]

잘 작동하네요.
그럼 이제 페이지 구현으로 가봅시다.
/internal/configs/fiber_config.go -> 웹 템플릿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 및 fiber 설정
[code]
pacakge configs
import (
"github.com/gofiber/fiber/v2"
"github.com/gofiber/template/html"
)
const APPNAME = "Crawler" // 앱 네임
func FiberConfig() fiber.Config {
tmpEngine := html.New("./public", ".html") // 1. 폴더 경로 2. 확장자 이름
return fiber.Config{
AppName: APPNAME,
Views: tmpEngine,
}
}
[/code]
이제 이 설정을 fiber에 적용하기 위해 app.go 를 수정하고, 웹 페이지를 만들어서 정상 작동하는 지 확인해봅시다.
/app.go
[code]
pacakge main
import (
"github.com/gofiber/fiber/v2"
"example/crawler/internal/configs"
)
func main() {
app := fiber.New(configs.FiberConfig())
app.Get("/", func(c *fiber.Ctx) error {
return c.Render("crawl", fiber.Map{})
})
app.Listen(":3000")
}
[/code]
/public/crawl.html
[code]
<html>
<head>
<title>크롤러 ?</title>
</head>
<body>
Hello, Crawler?
</body>
</html>
[/code]
이제 한번 실행해봅시다.
터미널
[code]
$ go mod tidy
$ go run .
[/code]

잘 작동하네요.
다음에 이제 폼을 구성해서 URL, 정규표현식을 입력받고,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해서 표시해봅시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92 | |
| 82 | |
| 80 | |
| 79 | |
| 78 | |
| 77 | |
| 76 | |
| 75 | |
| 72 | |
| 65 | |
| 64 | |
| 63 | |
| 62 | |
| 57 | |
| 55 | |
| 54 | |
| 53 | |
| 52 | |
| 51 | |
| 50 | |
| 46 | |
| 44 | |
| 43 | |
| 39 | |
| 34 | |
| 29 | |
| 28 | |
| 27 | |
| 26 | |
| 2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