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리스트를 for문으로 돌린다면 이중 for문이 우선적으로 떠오르시겠지만,
두 리스트의 인덱스를 동일하게 변경하여야 되는 경우에는 이중 for문을 사용할 수 없겠죠 ^^
예컨대 다음과 같은 두 리스트(도시, 인구수)가 있는 경우를 상정해보겠습니다.
[code]
city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pop = [970, 340, 290, 240, 150]
[/code]
위와 같은 경우에 for문에 range()를 이용하여 인덱스 자체를 직접 변경해주는 방법도 물론 있겠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zip()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파이써닉하다고 생각합니다 :)
[code]
city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pop = [970, 340, 290, 240, 150]
for i, j in zip(city, pop):
print(f'{i}의 인구는 {j}만입니다.')
[/code]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for문에 두 개의 리스트를 넣고 한꺼번에 돌리는 동시에 enumerate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de]
for idx, (value1, value2) in enumerate(zip(list1, list2)):
print(idx, value1, value2)
[/code]
주의하실 점은 첫 번째 줄에서 (value1, value2) 이렇게 괄호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됩니다 ^^
+)
참고로 Python 2에서는 위 방법을 사용할 수 없고, 다음과 같이 itertools.izip()을 사용하여야 됩니다.
[code]
import itertools
for a, b in itertools.izip(list_a, list_b):
print(a, b)
[/code]
댓글 2개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831 | |
| 830 | |
| 829 | |
| 827 | |
| 824 | |
| 823 | |
| 821 | |
| 819 | |
| 818 | |
| 814 | |
| 809 | |
| 808 | |
| 807 | |
| 806 | |
| 803 | |
| 801 | |
| 799 | |
| 798 | |
| 797 | |
| 796 | |
| 794 | |
| 786 | |
| 783 | |
| 782 | |
| 767 | |
| 742 | |
| 655 | |
| 614 | |
| 591 | |
| 590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