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free
GET /free/[wr_id]
GET /free/[wr_id]/comments
GET /free/[wr_id]/comment/[comment_id]
각 글에 달려 있는 댓글을 JSON구조로, 즉 댓글에 댓글은 subComments로 읽을 수 있게 만들어 봤습니다.
가능하면 프런트엔드에서 처리를 적게하기 위해서

댓글 5개
@마젠토 위처럼 백이 '데이타' 만 json 등으로 내보내면, 사실상 백은 db 역할만 하는 셈이지요.
프론트에서 렌더링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요즘 추세엔 이쪽에 가깝게 가려는 방향이긴 하겠지요
적절한 선에서 백에서의 렌더링을 어느정도 하는 게 일반적이긴 하지만
극단적으로 렌더링을 프론트에 모두 몰아넣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다만, 그런경우 백엔드에서 (가능한 최선을 다해) 데이타를 잘 압축 하고 정리해서 제공하도록 노력하는게 컨셉에 맞겠지요.
트래픽도 줄이고, 프론트에게 표현의 자유도 최대한 주는 것이 좋은 점이고
렌더링을 백엔드에서 결정하기 힘들다는 것, 프론트의 렌더링 부하 (자바스크립 등등..)가 심하다는게 단점일테고...
이 장단점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을 하는 게 설계자의 능력이겠지요.
이런 사항들만 잘 인지하고 설계하면 방향은 잘 잡힐 듯 합니다
제 생각에,
우리나라 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전체적 타협, 균형에 대한 시각은 좀 부족해지는 것 같습니다.
프론트에서 렌더링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요즘 추세엔 이쪽에 가깝게 가려는 방향이긴 하겠지요
적절한 선에서 백에서의 렌더링을 어느정도 하는 게 일반적이긴 하지만
극단적으로 렌더링을 프론트에 모두 몰아넣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다만, 그런경우 백엔드에서 (가능한 최선을 다해) 데이타를 잘 압축 하고 정리해서 제공하도록 노력하는게 컨셉에 맞겠지요.
트래픽도 줄이고, 프론트에게 표현의 자유도 최대한 주는 것이 좋은 점이고
렌더링을 백엔드에서 결정하기 힘들다는 것, 프론트의 렌더링 부하 (자바스크립 등등..)가 심하다는게 단점일테고...
이 장단점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을 하는 게 설계자의 능력이겠지요.
이런 사항들만 잘 인지하고 설계하면 방향은 잘 잡힐 듯 합니다
제 생각에,
우리나라 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전체적 타협, 균형에 대한 시각은 좀 부족해지는 것 같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61 | |
| 160 | |
| 150 | |
| 149 | |
| 141 | |
| 139 | |
| 138 | |
| 132 | |
| 127 | |
| 123 | |
| 117 | |
| 116 | |
| 114 | |
| 111 | |
| 109 | |
| 103 | |
| 101 | |
| 99 | |
| 93 | |
| 90 | |
| 84 | |
| 79 | |
| 66 | |
| 48 | |
| 47 | |
| 43 | |
| 37 | |
| 36 | |
| 34 | |
| 33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