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free
GET /free/[wr_id]
GET /free/[wr_id]/comments
GET /free/[wr_id]/comment/[comment_id]
각 글에 달려 있는 댓글을 JSON구조로, 즉 댓글에 댓글은 subComments로 읽을 수 있게 만들어 봤습니다.
가능하면 프런트엔드에서 처리를 적게하기 위해서

댓글 5개
@마젠토 위처럼 백이 '데이타' 만 json 등으로 내보내면, 사실상 백은 db 역할만 하는 셈이지요.
프론트에서 렌더링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요즘 추세엔 이쪽에 가깝게 가려는 방향이긴 하겠지요
적절한 선에서 백에서의 렌더링을 어느정도 하는 게 일반적이긴 하지만
극단적으로 렌더링을 프론트에 모두 몰아넣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다만, 그런경우 백엔드에서 (가능한 최선을 다해) 데이타를 잘 압축 하고 정리해서 제공하도록 노력하는게 컨셉에 맞겠지요.
트래픽도 줄이고, 프론트에게 표현의 자유도 최대한 주는 것이 좋은 점이고
렌더링을 백엔드에서 결정하기 힘들다는 것, 프론트의 렌더링 부하 (자바스크립 등등..)가 심하다는게 단점일테고...
이 장단점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을 하는 게 설계자의 능력이겠지요.
이런 사항들만 잘 인지하고 설계하면 방향은 잘 잡힐 듯 합니다
제 생각에,
우리나라 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전체적 타협, 균형에 대한 시각은 좀 부족해지는 것 같습니다.
프론트에서 렌더링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요즘 추세엔 이쪽에 가깝게 가려는 방향이긴 하겠지요
적절한 선에서 백에서의 렌더링을 어느정도 하는 게 일반적이긴 하지만
극단적으로 렌더링을 프론트에 모두 몰아넣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다만, 그런경우 백엔드에서 (가능한 최선을 다해) 데이타를 잘 압축 하고 정리해서 제공하도록 노력하는게 컨셉에 맞겠지요.
트래픽도 줄이고, 프론트에게 표현의 자유도 최대한 주는 것이 좋은 점이고
렌더링을 백엔드에서 결정하기 힘들다는 것, 프론트의 렌더링 부하 (자바스크립 등등..)가 심하다는게 단점일테고...
이 장단점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을 하는 게 설계자의 능력이겠지요.
이런 사항들만 잘 인지하고 설계하면 방향은 잘 잡힐 듯 합니다
제 생각에,
우리나라 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전체적 타협, 균형에 대한 시각은 좀 부족해지는 것 같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416 | |
| 415 | |
| 394 | |
| 375 | |
| 373 | |
| 368 | |
| 367 | |
| 364 | |
| 362 | |
| 360 | |
| 358 | |
| 356 | |
| 353 | |
| 351 | |
| 345 | |
| 344 | |
| 332 | |
| 329 | |
| 315 | |
| 309 | |
| 308 | |
| 300 | |
| 299 | |
| 294 | |
| 287 | |
| 281 | |
| 272 | |
| 270 | |
| 266 | |
| 265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