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1)

· 11년 전 · 779

사용자 정의 함수(User-defined functi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는 제가 앞에서 전역 변수, 정적 변수에 대해서 설명할 때 조금 소개되었죠.

함수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묶어서 프로그램에서 필요할 때마다 호출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함수를 사용하면 좀 더 효율적인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예제 코드를 보면서 가장 간단한 함수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function Output() {
  echo("Hello World");
}

Output();
?>


위 예제는 Output() 함수를 호출하여 "Hello World" 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위 예제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함수를 선언하는 부분과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을 기술해 주어야 합니다.

함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먼저 function 명령어를 써주고, 그 다음에 함수명과 괄호()를 써주면 됩니다.

그리고 함수의 몸체를 나타내는 중괄호를{}를 써주고, 그 중괄호{}안에 수행하고자 하는 코드를 넣어주면 됩니다.

다음으로, 그 선언된 함수를 호출하려면 그냥 함수명과 괄호()를 써주면 됩니다.

참고로, PHP4.x 이상 버전에서는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이 함수를 선언하는 부분보다 먼저와도 상관없습니다.

이제, 다음 예제 코드를 볼까요.


<?
function Output($string) {
  echo("$string");
}

Output("Hello World");
?>


바로 위 예제가 처음 예제와 다른 부분이 있죠?

두 번째 예제는 함수 선언부의 함수명 다음에 오는 괄호() 안에 변수가 들어가 있죠. 그 변수를 인자(argument)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함수 호출부의 함수명 다음에 오는 괄호() 안에 문자열이 들어있죠. 바로 그 문자열이 Output() 함수를 호출할 때 Output() 함수 선언부의 $string 변수에 할당되게 됩니다.

그래서, Output() 함수의 몸체에 기술된 echo("$string"); 명령어가 실행될 때 $string 변수에 저장된 "Hello World" 문자열이 출력되게 됩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1764
11763
11762
11761
11760
11759
11758
11757
11756
11755
11754
11753
11752
11751
11750
11749
11748
11747
11746
11745
11744
11743
11742
11741
1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