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일단 이유를 막론하고

· 12년 전 · 1418 · 12
저로 인해 기분 상하신 분들께 죄송합니다.

숨숨이 님의 글에 


댓글을 단건 단지 G5를 설치해 보지도 않고, 그누보드가 반응형도 아니고, 이건 아닌것 같다, 이런식의 말투로 느껴졌기때문에 기분이 나빠져서 G5 는 그렇지 않다는 걸 말하려 했던 겁니다.

G5를 설치해 봤다면 절대 그렇게 말하지 않았을텐데, sir.co.kr 공홈만 살펴보시고 그렇게 말하시는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왜 그누보드 사용자도 아닌데 기분이 나쁘냐구요?  그누보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상징성 있는 게시판 솔루션인데, 더구나 리자님이 얼마나 고심을 하시며 G5를 만드셨는지 G5의 코드들을 보며 그 정성이 느껴졌는데, 누가 G5 대해 조금이라도 나쁘게 말하는 것이 싫었습니다.

(더구나 숨숨이 님은 G5 코드도 한번 살펴보지 않고 그렇게 말을 하고 계신거였고...)

그리고 나중에 사과하셨고, RESS 하고 LESS 하고 착각을 하셔서 (사실 어떻게 서버사이드 기능을 이용한 반응형 웹구축 기법과, css pre-processor 와 착각을 할 수 있는지, 지금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아무런 연관도 없는 것 들 인데요.)  

그런 얘기를 하셨다고 하지만, RESS 하고 LESS 를 착각할 정도의 숨숨이 님이 저를 바로잡아 줘야 겠다고 하시니, 기가막혀서 더 이상 대화도 하기 싫었습니다.

아무튼 다른 분들께 불쾌감을 드릴려고 한게 아닙니다.

////////////////////////////////////////////////////////////////////////////////

이런거 다 떠나서 RWD 와 RESS 와만 놓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올해 봄쯤 RWD 와 RESS 를 비교하는 글을 한글로 쓰려고 하다 시간이 없어 그냥 영문으로 방치된 자료글 입니다.

로딩시간과 HTTP request 숫자를 봤을때 RESS 가 월등히 유리하다는 것을 알수 있는 자료 입니다. 각기 다른 사이트들을 비교한건데 객관성이 떨어지는 비교 아니냐?  라고 하실 분이 계실 것 같아서, 제 홈피를 RWD 인 경우와, RESS 인 경우를 비교해 드리겠습니다.

RWD

RWD.jpg

RESS
RESS.jpg

단지 모바일 상 RWD 를 RESS 로 바꾸었을 뿐, 동일한 조건입니다.

실제 확인해 보시고 싶으시다면, 제 영문페이지 (현재 RWD 상태) 와 한글 페이지를 비교해 보셔도 됩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peed/pagespeed/insights/?url=http%3A%2F%2Fhackya.com%2Fus

엄청난 속도의 차이가 있으심을 알게 되실 것 입니다.  더구나 RESS 가 적용되어 있는 한글 페이지는 슬라이더까지 장착되어 있습니다.  

//////////////////////////////////////////////////////////////////////////////////

말로 어느쪽이 더 우월하다 계속 논의를 하는 것 보다, 실례를 한번 확인해 보는게 더 확실하지 않겠습니까?

워드프레스는 그누보드와 front-end 쪽 관점에서 볼때 매우 흡사합니다.  XE 와 드루팔이 모듈개념이라면, 그누보드와 워드프레스는 테마/스킨 으로 사이트가 구축되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저는 리자님이 옳은 선택을 하셨다고 확신하는 것 뿐입니다.

리자님께서 정말 많은 자료들을 살펴보셨을거고, 현재 그누보드 환경에 맞는 가장 적합한 형태로 새로운 G5를 출시하신거라고 저는 생각하고, 앞으로 10년동안은 대한민국에서 최고의 게시판 솔루션으로 자리할 거라 확신합니다.

그런데 벌써부터, 시도해보지도 않고, 새로운 G5가 개발하기 불편하다니 등의 소리가 나오고, 이 RESS 기법이 적용이 된 core 단의 부분을 주석처리 해서 쓰고 있습니다. 라는 등의 글이 오늘 올라오니 제 심기가 몹시 불편한 것 입니다.

RESS 는 RWD 의 과도기에 임시방편이 아니라, 미래지향적 방식인겁니다.  객관적 data 를 살펴보시니 어떻습니까?  제 말이 틀렸습니까?

마지막으로, THIRD 님의 이 도표,

휴.. 뭐라고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RESS 란 어떤 정해진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전진님께서 이부분을 확인시켜주실 수 있겠지만, image 나 css, 자스를 optimize 하는 것도 RESS 에 포함되는 것 입니다.  단순하게 RESS, 이 단어의 뜻만 한글로 번역해서 읽어봐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Smashing Magazine 에서 RESS 의 개념도 몰라 이런글을 올리겠습니까?

제가 상대방을 무시하고 말을 함부로 하는게 아니라, 서로 논의/논쟁을 하려면 최소한 개념은 명확하게 갖고 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무지한 상대방에게 제가 어떻게 말을 해야 할까요?  "개념이 부족하시니 가서 개념부터 탑재하고 오세요." - 이렇게 얘기해야 할까요?

저 나름대로 최대한 말을 조심해서 하려고 한겁니다.

제가 언제 지운아빠님이나 전진님께 말을 함부로 하던가요?  지운아빠님이나 전진님과는 견해차이가 있는거지, 서로 개념을 놓고 왈가왈부 할 일이 없습니다.  

아무튼 다른분들이 기분나쁘셨다면 죄송하지만, 저 역시 감정이 상하기는 마찬가지 였습니다.  

index.html 에서는 왜 <?php include 가 안되나요? 라고 하는 사람에게 올바른 방법을 말하니, "그건 당신이 잘못알고 있는거야" 라는 답이 돌아온다면 어떤 기분이겠습니까?

기분이 나쁘거나 어이가 없겠죠?

네. 제가 딱 그런 기분입니다.

RWD_full.jpg

RESS_full.jpg

앞으로는 개발에 관련된 글에는 댓글도 달지 말고, 가급적이면 눈팅만 하고 지내겠습니다.  정말 저로서는 기가막힐따름입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2개

아 그런 경우였군요. ^^;
그 글의 출처는 sixrevisions 인것 같습니다. http://sixrevisions.com/mobile/methods-mobile-websites/
실질적인 수치등이 들어있어서 꽤 유용한 글이었던것으로 기억을 하고 있었어요.
12년 전
맹목적으로 미반영되리라 생각지는 말아주세요. ^^;; 사용자들이 이야기가 없으면 저희도 깨닫기가 쉽지 않습니다.
계속 이야기가 되어야 저희도 살펴보고 생각하게 됩니다. 비록 대부분 반영을 하지 못하더라도요.
(어떤 기술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 놓여있다거나, 좋은 아이디어지만 기존 사용자들을 고려해야 하거나 혹은 정말 개발진이 너무 바쁘기 때문...등의 이유로)

하지만 이런 이슈가 계속해서 생산되는 건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커뮤니티도 활성화되구요. ㅎㅎ)

설령 위에 언급한 이외 어떠한 이유로 배포판에 포함될 수 없더라도, 사용자분들이 계속해서 목소리를 내는 것은 빌더/스킨/플러그인 제작자분들에게도 분명 영감을 주는 일일 겁니다. ^^;;

출근길에 읽은 책에 이런 글귀가 있더군요.

"
내가 보기에 도널드 럼스펠드가 이와 관련해서 아주 좋은 말을 남겼다.

알다시피,
안다고 알려진 것들이 있다.
우리가 안다고 아는 사실이다.
우리는 또 알고 있다.
모른다고 알려진 것들도 있다.
그것은 곧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무엇인가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또한 아직 알려지지 않은 모르는 것도 있다.
우리가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는 것들 말이다.

코딩호러의 이펙티브 프로그래밍 中
"

그런데 누구보다 토론에 열정을 가진 전진님께 이런 댓글을 다는게 저로써는 좀 민망하네요. ㅎㅎㅎ;;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184
1183
1175
1162
1079
1072
1053
1027
1026
1020
1017
1005
985
973
963
955
950
945
936
932
927
925
923
922
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