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클로드코드 끝나면 코덱스를 사용해 보고자 하는데
차이가 많이 있는지 알고 싶네요.
디자인은 클로드코드가 조금 더 잘해주는 것 같은데
백엔드의 경우 코덱스가 더 낫다라는 얘기들을 유튜브에서 많이 하고 있네요.
디자인 틀은 어느 정도 이루어져서 백엔드 코드를 중점적으로 코딩하려고 하는데
괜히 바꿨다가 헛수고 하는거 아닌지 약간? 고민 됩니다. ㅎ

댓글 2개
다른 게시글 댓글에도 남겼지만, 같이 쓰셔도 됩니다. Ai 모델 3개로 작업해도 문제 없습니다..
내가 팀장이면, 팀원 3명이 코딩 스타일이 조금씩 다르고 스킬도 장단점이 있죠. 좀더 잘하는 역활도 있고. 팀장의 역활은 팀원의 강점을 살리는 건데, 이를 위해서는 기회를 주고 관찰하는게 필요해지겠죠.
그래서 요즘 나오는 ai 툴은 이런 여러 모델 에이전트를 관리하거나 조직화시키는 기능을 메인으로 하는것 같습니다..
AGI 에서 에이전트 다음단계로 나아가는 걸로 보여집니다.
좋은모델1개보다. 내가 써보고 역활벼루로 맞는 ai를 두루 쓰는게 좋은 전략입니다.
과거에 사람이 만든 전략은 과감하게 버리고 ai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하세요. 이게 AX 이고 ai 네이티브입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081 | |
| 1080 | |
| 1078 | |
| 1074 | |
| 1070 | |
| 1068 | |
| 1061 | |
| 1056 | |
| 1053 | |
| 1046 | |
| 1045 | |
| 1044 | |
| 1036 | |
| 1033 | |
| 1028 | |
| 1027 | |
| 1025 | |
| 1023 | |
| 1016 | |
| 1014 | |
| 1013 | |
| 1012 | |
| 1009 | |
| 1008 | |
| 1005 | |
| 1004 | |
| 981 | |
| 980 | |
| 979 | |
| 97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