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주간 토큰이 없어질 때 까지 하루에 8시간씩 수정을 했습니다.
지난 금요일에 유료화하라고 해서, 오늘 40불 플랜으로 할려고 했더니,
월말로 끊는다고, 16불정도만 내라고 하네요. 남은 기간동안 받은 Vibe 코딩 갯수가 181개 (40불이 225개)
오늘 반나절 수정하는데 50%를 사용했네요.
사용법이 거의 패턴이었으니, 지난 무료기간은 거의 하루에 200개의 바이브토큰을 사용했다고 봐야 되겠네요. (무료 기간이 이번달말까지만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긴하지만.)..
그런데 아래에 Overages가 있는데, 바이브 요청당 4센트이면 $200짜리 2250*0.04 해도 90불이면 되네요
(이전 글 참조 https://sir.kr/cm_free/1715131 )
스펙작성이 $0.20인데, 지금까지 작업을 보면, 스펙작성은 하루에 한번 아니면 두번정도 하고, 나머지는 틀린 부분 수정해줘, git commit해줘(이것도 바이브 요청에 들어가는 것 같으), 코드 Verification 해줘등이 들어가네요. $40불이나 $20불 플랜에(여긴 바이브 요청당 가격이 더 비싸질려나? 같다면 스펙은 20불정도도 충분하니 Overages를 키고 사용하는 것이 비용 절약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번 뭐 해줘하면, 모든 코드를 찾아서 해당되는 곳을 찾다 보니, 이 때 엄청 많은 바이브 요청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부분을 딱 집어서 수정해 달라고 해야 바이브 요청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리자 님 글 보면 현재까지 써본(많이 써보진 않았지만.) 경험으로 보면, 80-90%는 대부분의 바이브 코딩이 만들어 주는데, 나머지 10%, 5%를 딱 집어서 수정하고, 구현하는 것은 아마도 어느정도의 능력과 문제점 파악을 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댓글 9개
@마젠토 저는 GPT5 딱 한번 써보고 바로 변경해 버렸습니다.
완전 별로였거든요
저는 커서 200불 요금제 사용합니다.
그래서 Limit 제한없이 사용가능한지도 모르겠습니다.
가끔 summarizing 하긴 하는데
기존에는 요약하지 않고 버벅거렸던데 비해
알아서 길어지면 요약해 주니 좋더라구요
그리고 전체 컨텍스트의 몇프로 사용중인지 하단에 실시간으로 보여서
80% 이상 차고 어느정도 구현을 마무리 했으면
했던 내용을 잘 정리해서 지식베이스로 업데이트 하고
새롭게 대화를 시작합니다.
제가 이것저것 처음부터 많이 써보면서 느낀점은
프로젝트 하나를 재대로 끝내려면 어마어마한 양의 토큰을 소비해야 하고
20달러 짜리 토큰으로는 프로젝트의 디테일한 부분까지 구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 됩니다.
그래서 200달러로 결제하고 사용하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삽질 하는 경우도 있고 잘 안되는 부분도 있지만
(사실 너무 불필요하게 코드를 복잡하게 짜는 경향이 있습니다.)
적절히 잘 코칭하면 결국 마무리는 됩니다.
결국 프로젝트가 마무리가 되는가 안되는가 인데
저는 프로젝트 마무리를 위해서 돈을 좀 투자 하자는 생각입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프로젝트가 AI를 통해 하나씩 잘 마무리 되고 있긴 합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712 | |
| 711 | |
| 709 | |
| 702 | |
| 698 | |
| 696 | |
| 695 | |
| 680 | |
| 679 | |
| 673 | |
| 672 | |
| 662 | |
| 655 | |
| 649 | |
| 641 | |
| 640 | |
| 634 | |
| 615 | |
| 607 | |
| 605 | |
| 603 | |
| 591 | |
| 588 | |
| 584 | |
| 583 | |
| 579 | |
| 578 | |
| 564 | |
| 559 | |
| 557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