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음수근과 허근은 뭐죠? ^^

· 6년 전 · 3686

오늘은 우리 큰아들 중학교 1학년 수학책을 봤어요.

그런데요.

 

갑자기 음수근과 허근이 궁금합니다.

 

1299183047_1553468372.2832.jpg

 

'음수근' 구글링 결과 > -600 그램

 

뭔 소리지? 1근 반대말이니?

 

방정식의 근 같은데?

방정식인지 아닌지 모르지만. ㅡㅡ 답이지?

음수의 근이란 뜻이니?

 

야, 나는 수포자가 아니다.

수학 자체를 안 했다. 약 올리니? 

수학을 공부하다가 포기해야 수포자 아니니?

나는 시작도 안 했다. ㅎㅎ 

 

수포자의 전형적인 특성이기는 하다! ~~

 

진짜가 뭐니?

 

그래서 할 수 없이 그냥 내 지릅니다. ㅋ

 

음수근과 허근은 뭐죠? ^^

또 배우고 싶어요. ㅡㅡ.

대충은 알아요. 하지만 제대로는 몰라요!

 

-600 그램 < 답이니?

 

할 수 없네?

 

내가 찾는다. < 엄청나게 잘 한다. 무식하니까. ㅋ

 

1299183060_1553459380.7233.jpg

 

출처 : 수학기호의 역사: 상징의 기원을 탐구하는 매혹적인 여정
(공)저: 조지프 마주르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00441991

 

이 공식은 모두 막은 것 같은데?

왜 보여주지?

 

?

 

모두 막은 것이다?

 

너 죽을래? ㅎ

 

시대 시대의 방식 차이다?

 

막은 것은 아니네?

표현의 차이? 

 

-600 표현의 차이다!

 

이그.

 

//

 

2019.03.26. 09:49:10

 

쉽게 포현하면 근 중에서 음수값을 가진 근이다.

하지만 이렇게 단순하지 않다.

 

방정식에서 양수근, 음수근, 허근까지.....

그런데 실수 내에서는 그냥 근이지

양수근, 음수근이란 표현을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

이런 경우는 있다. 고차방정식에서 근이 여러 개 나왔을 때

이 중에서 음수근만 골라라? 써라? 아무튼 이럴 때 필요할 것 같다.

허근은 실수 내에 존재하지 않아 표현.

 

이차방정식에서 판별식 값이 D≥0 이면 실근, D<0이면 허근. 
(이때 D는 판별식을 뜻하는 수학 기호) 
https://ko.wikipedia.org/wiki/판별식 

 

이 경우, 

 

D>0 이면 2개의 실근

D=0 이면 중근(중복된 근) < 수포자는 중간 근 생각한다. 꼭 주의

D<0 이면 허근을 가진다.

 

수나 근이 생긴 이유, 만약에 어떤 방정식이. 삼각비도 사실은 방정식이다.

A제곱 에이. 일단 표기 방법부터 나는 배워야 한다. ㅜㅜ 나중에 고칠래.

삼각형 하나 그려서 표현 더 전달이 잘 될 것 같음.

돈 빌려주고 남은 이자 계산할 때 음수근이 필요.

내가 계산할 돈? 갚아야 할 돈? 이자가 붙었을 때 나에게 마이너스?

아무튼 이런 표현을 생각 좀 잘 정리하고 다시 고치겠음. 

이것이 문제가 지금 모두 방정식이다.

이자도 방정식. 정리가 안 되네? 모르니까!

확실하게 모르니까 그런 것 같다.

 

돈 빌려주고 남은 이자 계산할 때 음수근이 필요.

이것도 틀린 것. 표현이

근이 아니잖아? 정리를 못 하네?

그런데 근이 되기도 하잖아? 아, 이것이. 아는 것도 같은데?

표현을 못 한다. < 모르는 것이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3195
3178
3136
3121
3120
3119
3118
3109
3105
3103
3094
3090
3019
3014
3008
3000
2989
2981
2978
2954
2949
2933
2931
2929
2914
2913
2906
2895
2893
2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