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나이가 들면 시간이 더 빨리 가는 이유 진짜는?

· 6년 전 · 5396 · 16

2019.04.07. 15:23:59

 

상대성 이론을 조금 접하게 되었습니다.

태어나서 처음 계산도 해 보았고요.

 

상대성 이론을 접하면서 든 생각은

 

E=mc^2

 

특수 상대성이론
속도가 빠르면 시간이 더디게 간다고 한다.
상대적이지 내가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다.
천천히 안 간다.

 

{\displaystyle \mathbf {G} ={\frac {8\pi G}{c^{4}}}\mathbf {T} }

 

일반 상대성이론
중력이 센 곳에서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것은?
상대적이지 내가 그곳에 있다고 그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천천히 안 간다. 

 

상대적인 개념에서만 시간 지연 현상이 있을 뿐

진짜 시간 지연 현상은 없다.


특수 상대성이론도 일반 상대성이론도

상대성이란 조건 안에서 그것이 바른 것이지

시간은 애초부터 없다.

 

입니다.

 

또한 이런 생각도 들어요.

굳이 시간이란 표현을 써야 한다면요.

 

1. 속도가 빠르면 느리게 진동한다. < 특수 상대성이론
2. 중력이 강할 수록 느리게 진동한다. < 일반 상대성이론

 

진동의 빠르기는 시간의 속도다.

 

속도가 빠르면 시간이 느리게 간다.
중력이 강할 수록 시간은 느리게 간다.

 

중력은 가속도와 같다. 등가원리 < 일반 상대성이론
중력으로 인한 가속도는 G와 일치한다
G는 중력상수다.
https://sir.kr/so_earth/2906

 

나이가 들면 시간이 더 빨리 가는 이유, 저는 생각 같습니다. 

나이가 먹어도 어떤 사건은 시간이 길게 늘어지죠.

특히 지루한 것을 할 때 그랬습니다.

왜 그렇게 시간이 길게만 느껴지는지

 

새로운 정보가 들어올 때 시간이 길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솔직히 여기는 모르겠습니다.

항상 새로운 것만 하고 살았습니다.

그러니 제 머리는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은 반응 같아서요.

과거의 기억이나 지금이나 속도가 같습니다.

 

눈알의 움직임? 더럽게 빠릅니다.

단지 무언가를 이해할 때 모르니 속도가 느립니다.

이 속도가 느릴 뿐 내 눈알의 속도는 엄청나지 않을까?

 

어려서 기억은 시간이 길었던 것 같은데

나이 먹어서는 짧게가 느껴지는 시간

 

어려서는 심장 박동이 빨리 뜁니다. 맥박요. 20~30회 정도 빠르죠.

진동이 빠릅니다. 도파민도 그렇고 생체시계 리듬도 그렇고 

마치 속도에 영향을 끼쳐서 그렇게 느끼게 해 주는 요인처럼 보여요.

신기한 것이 이것들이 모든 환경에서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면 아닌 것이 됩니다.

진리는 엎어져도 뒤집혀도 그대로 되는 것이 참 아닐까요?

외적인 환경에 따라서 우리가 다르게 느낍니다.

오로지 우리가 착각하여 그런 것 같아요.

 

그러나 이런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호르몬이 원인 물질이라고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물질 하나가 그렇게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신경전달물질

 

신경전달물질은 신경 세포에서 분비되는 신호 물질이다.

고전적인 신경전달물질로는 아세틸콜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시냅스를 통해 인접한 신경 세포의 전위를 높이거나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도

신경세포는 아민이나 뉴로펩타이드를 통해

보다 넓은 지역의 세포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주요 신경 전달 물질에는 무엇이 있나요?
https://blog.eyewire.org/what-are-the-main-neurotransmitters-kor/

 

빠른-작용 흥분/억제 정보 전달에 사용되는 작은 분자들

(glutamate, GABA)


느리게 신경망 활성을 조절하는 작은 분자들

(도파민, 세로토닌, 그리고 다른 3가지)


더 느리게 회로 기능을 조절하는 펩타이드(큰 단백질 분자들)들

(엔돌핀, 카노비노이드, 옥시토신, 그리고 많은 다른 분자들)

 

모두 복수입니다. 분자들.

우리 뇌가 나이가 들면 시간이 빨리 가는 이유는

이 모든 것들이 뭉쳐서 만들어 낸 환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것을 건드리고 싶어서요.

그래서 이것은 이대로 정지합니다.

먼 훗날 생각이 바뀌면 또 수정합니다. 

 

아래 내용은 도대체 진짜 이유는 뭘까? 궁금하여

접근하고자 찝쩍거린 정보입니다.

 

///////////////////////////////////////////

 

E=mc2 의미, 증명, 유도 완전 정리

(특수 상대성이론 공식 E=mc^2)
https://cheekong.tistory.com/1

 

처음부터 다시 조사해야겠다.

건너뛰기를 하니 진짜를 모른다.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호르몬이 원인 물질이라고는 생각한다.

뇌 신경 과학자들이 인정하는 것 아닐까?

나는 이놈이 뭔지 모르나 나도 인정한다. ㅋ

 

답은 상대성 이론에서 나올 것이다.

하지만 특수 상대성 이론을 모른다.

진짜를 모른다. 공식으로 접근해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그러니 개념이 왔다 갔다 한다.

 

오늘 새벽에는 일만 했다. 

돈이 뭔지 시간을 벌고 싶어서!

오늘 배워야 할 것을 미뤘더니? 슬프다. ㅋㅋ ㅡㅡ. 

 

영상 위치 < 내가 말발로 커버 못 하면 표현. 싸가지. NN

 

이 영상을 한 번 보고나서 아래 정리해 놓은 부분을 읽는다면

E=mc2의 의미, 원리, 증명, 유도가

완벽하게 머리 속에서 정리되리라 본다.

 

일단 저는 삽질이 필요합니다.

그냥 가겠습니다. ㅋ

도저히 이해를 할 수 없다면 내년에 영상 꼭 보겠습니다!

 

상대성이론

 

E=mc2의 그 탄생부터 시작해보면, 이

누구나 한 번씩 들어본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공식 E=mc2은,

또 누구나 한 번씩은 들어봤을 상대성이론에서

아인슈타인이 발견한 공식이다.

 

무슨 말씀인지 ㅡㅡ. 우리말이 어색합니다. ㅋ

 

이 상대성이론은 또 크게 2개로 나눠진다.

 

일반 상대성이론(theory of general relativity)은

일반적인 모든 상황에 적용되어지는 이론인 데 반해

특수 상대성이론(theory of special relativity)은 가속도 0인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되어지는 이론으로 훨씬 간단하고 쉽다. 

 

//

 

특수 상대성이론에서 특수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 위에서 말했다면

이번엔 뒤에 상대성의 의미에 대해서 말해본다.

 

주변에 어떠한 것들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주변의 영향에 의해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상대성이론에서 그 주변의 어떤 것은 속도를 말하고,

상대적으로 달라지는 것은 시간이 된다.

서로 속도가 다르면 시간이 다르게 흐르는 것이다.

이 부분은 처음에 직관적으로 이해하기가 굉장히 힘든데

 

이것은 빛의 속도가

관찰자의 속도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

 

이 내용은 누구 이야기죠? 

특수상대성 이론 이야기 같은데요. 일반 상대성 이론인가요?

왜 또 헷갈리지? ㅡㅡ.

 

상대성 이론이라고 대문짝만하게 달아놓고는 딴소리. 유유.

상대성 이론 안에 일반 상대성이론과 특수 상대성이론이 있다.

하자가 전혀 없구먼. ㅡㅡ.

 

//

 

똑같이 날아오는 빛에 대해서 두 사람, 

 

정지해 있는 사람과 빛이 다가오는 반대방향으로

(말도 안 되긴 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빛의 속도로 도망가는 사람이 봤을 때를 보자.

 

빛의 물리학 1부 - 빛과 시간 특수상대성 이론 Part3
https://sir.kr/so_earth/186
2016.10.25 06:29:52 작성했으니 
아마도 저는 이 근처에서 이 내용을 배웠을 겁니다.

 

정지해 있는 사람의 경우 당연히 빛이 빛의 속도로 오는 것처럼

보일 것이라는 건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도망가는 사람의 경우엔 빛의 속도로 다가오는 빛을

빛의 속도로 도망가고 있으니

빛이 그에게 도달하지 못 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게도 역시 그 빛은 빛의 속도로 다가간다.

 

이게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인가 할 수 있지만

이 부분을 너무 깊게 들어가기는 그렇고

맥스웰 방정식 등으로 상대성이론 이전부터 

광속 불변은 확인되었던 것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따로 알아보기로 하고 넘어간다.

 

할 수 없네요? 대충은 의미가 없습니다.

 

맥스웰 방정식
https://ko.wikipedia.org/wiki/맥스웰_방정식


맥스웰 방정식(Maxwell方程式, Maxwell's equations)은

전기와 자기의 발생, 전기장과 자기장,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의 형성을 나타내는 4개의 편미분 방정식이다.

전자기역학은 맥스웰 방정식과 로런츠 힘 법칙으로 요약된다.

 

편미분 방정식 접해 보았습니다.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은 뭐지?
https://sir.kr/so_earth/2078

 

//

 

'속도=거리/시간'에서

달라져야만할 것 같던 상대 속도가 일정하려면?

 

여기는 생각 좀 해보고 싶어요.

 

여기서 바로 아인슈타인이 기존의 틀을 깨고 생각해낸 것이다. 

시간이 서로 다르게 흐르거나 거리가 달라진다.

특수 상대성이론의 용어로 말하자면 시간 팽창과 길이 수축이다.

글로써 표현하기엔 다소 힘든 부부이라 영상이 있는 게 아닐까 싶다.

그래서 내가 영상으로 정리를 하기도 했고,

원리에 대해서는 위에 영상을 통해서 확인하는 걸로 하자.

 

상대 속도에 따른 시간 팽창은 피타고라스 정리로 구할 수 있다.

 

2019.04.04. 07:52:19

 

특수 상대성이론

모두 좋습니다. 그런데 정말 진짜가 이건가?

그러니까 진짜 이유가 특수 상대성이론이냐 이거죠.

일단 연결은 이놈이 쉽습니다.

설득력도 충분합니다. 특수 상대성이론

오전에 공식도 잠깐 보니까 그럴싸 합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시간이 더 빨리 가는 진짜 이유!

여기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만약, 이 모든 것이 중력의 문제라면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가야 할 것 같아서요.

 

https://ko.wikipedia.org/wiki/일반_상대성이론

 

이상합니다.

 

나이가 들면 시간이 더 빨리 가는 이유
https://sir.kr/so_earth/2933

 

특수 상대성이론이 무엇을 말하는지 접했음에도 

나이가 들면 시간이 더 빨리 가는 이유는

중력 문제로 풀어야 할 것만 같으니 말이죠.

유일한 해결책을 중력이 가지고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제 도파민은 진짜 이유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수상돌기, 축삭돌기 같은 신경돌기를 더 의심하죠.

 

https://ko.wikipedia.org/wiki/가속도

 

이렇게 움직여야 하는데? 이렇게 안 움직인다. 

그러면 답이 아니다.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6개

@상석하대 네 선생님 위성 이야기는 저도 접했습니다.
원자 시계로 측정했다고 했던 것 같고요. 세슘이었나요?
중력 영향은 덜 받고? 너무 높은 곳에 있어서요.
이러면 지구 중력 영향을 받지 못하여 시간이 빨리갑니다.
하지만 속도가 빨라 시간이 느리게 갔다는 내용으로 기억합니다.
바른지 모르겠습니다. 증명된 사실이라고 했습니다.

모든 좌표계에서 스칼라량은 동일하게 흐릅니다.

인터스텔라. 엄청 재밌습니다. ^^ 꼭 보십시오. ㅎ
조금 단순하기는 했습니다. ㅡㅡ. 아쉽더라고요.

아버지와 딸. 네. 그런데 저는 속도가 빨라서
그런 차이가 왔다고는 생각하지 않고요.
중력이 강한 블랙홀 근처에 들어갔다가 나와서
그런 것으로 기억을 합니다. 강한 중력 영향으로 생각했습니다.

아버지와 딸 각자 있던 곳을 기준으로요?
상대방의 시간은 그대로 였습니다.
단지 아버지가 지구로 왔을 때 딸은 이미 할머니가 되었죠.

음. 인터스텔라 여기는 잠시 또 나가야 해서요.
나갔다 와서 다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석하대 죄송합니다. 선생님. 나갈 무렵 로그인했습니다.
3번 딸이 아픈 것 같아 병원에 갔는데요.
이미 끝 무렵이라고 하시네요. ^^ 약은 받아서 왔고요.
애들 마저 끌고 왔습니다. ㅋ

'아버지와 딸은 서로 다른 속도를 지닌 시간을 보낸 것일까요?
아니면 아버지와 딸이 각자가 있었던 곳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대방의 시간이 다른 것인가요?'

서로 다른 속도를 지닌 시간을 보냈는가?
아버지와 딸이 각자 다른 곳에 있었고 상대적인 기준으로 하였는가?
이때 상대방의 시간이 다른 것인가요?

이렇게 받아드리겠습니다.

네. 서로 다른 속도의 시간을 보냈다고 생각합니다.
상대적인 기준으로 보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네. 상대방 시간의 흐름은 다르게 갔습니다.

영화를 봤을 때 저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

제 생각은 이렇고요. ㅎ
틀린 것은 몰라서 그렇습니다. ㅡㅡ. ^^
아, 정말 언제 알 수 있을까요. ㅎㅎ
감사합니다. 선생님!!!
6년 전
@orbital 같은 스칼라량이지만,
지상에서 측정한 위성의 시간,
위성에서 측정한 관제센터의 시간,
우주에 있던 아버지가 관측한 지구의 시간,
딸이 아버지가 있는 우주 어딘가를 관측한 시간들은 각기 다릅니다.
'이쪽(좌표, 계, 시공간)에서 측정한 값은 저쪽과 다르다(단, c는 열외)'가 기본입니다.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한번 물어 본 것입니다.
이런 게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맞지 않아서 어렵다면 어려운 부분입니다.
@상석하대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는 말씀이십니다.

'이쪽(좌표, 계, 시공간)에서 측정한 값은 저쪽과 다르다(단, c는 열외)'가 기본입니다.

네. 선생님 이 말씀은. ㅜㅜ. 저 100% 모르겠습니다.
단지. 음. 이쪽에서 측정한 값은 다르다. 입니다.
단, 빛의 속도 c는 열외. 가 기본이다.

이렇게 접수합니다.

제대로 이해. 아직 모릅니다. 선생님.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맞지 않아서요?
히히. 저요? ㅎ
네.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
일단 제가 모르니 어쩔 수 없습니다. ^^

죄송하고요. 감사합니다!!!

//

2019.04.04. 18:28:33

? 선생님 광속불변의 법칙을 열외요?
빛의 속도는 항상 일정하다.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일단 저 모릅니다. 좀 더 배우고 ^^. 그리고 덤비겠습니다!
저는 사실 광속 불변의 법칙을 열외하고 생각했습니다.
죄송합니다. ㅜㅜ.

이렇게 접근하니 중력의 문제로 보여서요.

그래서 자꾸 특수 상대성이론이 바른가? 라는 착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이런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속도의 개념부터 다시 접하겠습니다.
6년 전
@orbital 허~, 알거나 모르는 여부를 떠나 순전히 마인드에 관한 것입니다.
일종에 공리처럼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대로 받아 들이는 사항 말입니다.
이 마인드가 없으면 상대성이론을 제대로 해낼 수 없습니다.
무슨 뜻인지 나중에라도 이해가 됐으면 합니다.
@상석하대 자세를 말씀해 주신 것 같습니다.
상대성이론은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해하고 싶으니 배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3195
3178
3136
3121
3120
3119
3118
3109
3105
3103
3094
3090
3019
3014
3008
3000
2989
2981
2978
2954
2949
2933
2931
2929
2914
2913
2906
2895
2893
2883